울산 북구 염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전용 수출 부두 전경. ⓒ울산항만공사
울산 북구 염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전용 수출 부두 전경. ⓒ울산항만공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내 공급망 이전을 추진 중인 자동차 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일부 수입산 자동차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나입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에 앞서 진행된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관세 유예 검토 여부에 대한 질문에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다른 지역에서 부품을 이전하려는 자동차 업체들을 돕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들 업체는 미국 내에서 부품을 생산할 계획이지만,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관련 사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3일부터 모든 수입산 자동차와 일부 부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국내 제조업 유치를 위한 정책이지만, 해외 공급망에 의존해온 일부 미국 기업들까지 타격을 입으면서 업계의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일정 기간 관세를 유예하는 방식을 통해 업체들의 미국 내 생산 이전을 유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와 전자제품에 대해서도 유연한 접근 가능성을 언급했다. 애플 제품을 포함한 전자기기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를 묻는 질문에 그는 "관세 부과 방침을 바꾸지는 않았지만, 나는 유연한 사람"이라며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답했다.

또한 그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와의 최근 대화를 언급하며 "그를 도운 적이 있다. 누구도 피해를 입기를 원하지 않지만, 최종 결과는 미국에 긍정적인 소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5일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향후 90일 유예 기간 이후에는 상호관세 조치도 시행할 계획이다. 다만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반도체 제조 장비 등 주요 전자제품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하며 일정 부분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해서도 품목별 관세 부과를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당 조치를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대화 진행 상황을 묻는 질문에 "없다"고 답했다. 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베트남 방문을 언급하며, "미국을 어떻게 망치게 할지를 알아보기 위한 회담"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발언은 미중 간 무역 긴장이 여전히 고조된 상태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동차관세 #미국관세 #전자제품관세 #트럼프 #트럼프관세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