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4월 23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한미 경제·통상 수장 간 '2+2 통상 협의'에 참여한다. 이번 협의는 무역균형, 조선 협력, 에너지 등 양국 간 주요 통상 현안을 조율하고,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전략적 대응이다.

22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안 장관은 미국 체류 기간 동안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연쇄 회동을 가질 예정이다. 특히 안 장관은 그리어 대표와의 개별 협의도 추진하며, 핵심 통상 이슈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번 협의의 중심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조해온 상호관세 정책이 있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며, 무역균형과 조선산업 협력, 에너지 분야 협업을 포함한 미국 측의 요구 사항과 관심사를 면밀히 파악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미국이 한국에 이미 부과했거나 부과를 검토 중인 국가별 관세(기본 및 상호관세 포함)와 자동차, 철강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예외 또는 감면 방안도 협의의 주요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이번 협의에는 산업부와 기재부뿐 아니라 외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등 여러 관계 부처가 공동 대표단으로 참여했다.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고, 차분하면서도 실질적인 논의를 통해 한미 양국 간 상호호혜적인 협력 해법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 장관은 "한미 양국 산업은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만큼, 일방적인 관세보다는 상호 윈-윈(win-win) 전략이 필요하다"며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실질적인 이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방위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미협상 #안덕근 #최상목 #기독일보 #상호관세 #조선 #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