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회데이터연구소
매주 기독교 관련 통계를 발표하고 있는 목회데이터연구소(목데연)는 18일,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기사연)과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의 최근 조사 결과를 소개하면서 이 같은 현상에 주목했다.
한목협의 ‘한국 기독교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2012년 가나안 성도는 11% 수준이었는데 2017년 20%를 넘어섰고, 2023년 29%까지 올라갔다. 2024년에는 31%까지 올랐다. 특히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44%로 가장 높았고, 30대와 40대도 각각 38%, 39%였다.
또 기사연 조사에서는 종교 단체에 속하지 않아도 종교 생활이 가능하다는 응답이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 10명 중 6명꼴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에 대해 목데연은 “기독교인의 제도화된 교회에 대한 의존도가 비기독교인 수준과 비슷해졌음을 의미하며, 탈종교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분석했다. 다만 종교별로 보면 불교인, 가톨릭인 등 타 종교보다는 기독교인의 종교 단체 소속 의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한다.
이 밖에 종교 생활의 가장 중요한 목적에 대해서는 기독교인을 포함한 모든 종교인, 무종교인이 공통적으로 ‘마음의 평안’을 1순위로 꼽았다. 또 평소에 기도한다고 응답한 자에게 그 이유를 물으니, 기독교인과 비기독교 모두 ‘가족과 친구의 안녕을 위해’(1+2순위)를 가장 많이 꼽았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