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과대학 학장들이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는 새 정부 출범 여부와 관계없이 정부 방침에 따라 차질 없이 추진된다고 밝혔다. 학생 복귀 시한을 넘길 경우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가 불가능하다는 점도 명확히 했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15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는 정부의 확고한 목표이며, 이는 정치적 상황 변화와 무관하게 이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협회는 "일각에서 기대하는 정치 상황 변화에 따른 학사 유연화는 사실이 아니며, 교육부와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모두 2025학년도 학사 운영에 있어 학칙 준수를 기본 방침으로 삼고 있다"며 "의대 학장들도 이에 예외를 둘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협회는 유급 기준과 관련해 "통상 유급 여부는 학기 말에 결정되며, 결정 전 소명 기회가 주어지지만 올해는 유급 시점을 앞두고 각 대학이 다양한 방식으로 유급 예정 사실을 사전 통지할 것"이라며 "학생들은 피해를 피하기 위해 학사 일정을 반드시 확인하고 정해진 시한 내 수업에 복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에 대해서도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 협회는 "실기시험은 졸업생 또는 졸업 예정자만 응시 가능하며, 임상실습과 평가가 완료되지 않아 유급이 결정되면 원서 접수가 불가하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정한 임상실습 기간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응시 자격이 박탈된다"며 "각 대학의 학사 일정에 따라 복귀 시한은 이미 설정되어 있으며, 고려대 의대는 지난 4월 11일 이를 명확히 발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2026학년도 입학생 수용과 관련한 '트리플링' 문제에 대해서도 협회는 우려를 표했다. "2025학년도 1학기 유급 시한 이전에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2024학번과 2025학번 입학생을 분리해 교육하는 방안 자체가 무의미해진다"며 "이는 2024학번이 2030년 여름 졸업을 위해 필요한 최소 법적 학업 기간조차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협회는 "수개월에 걸쳐 학생 의견을 반영하고 전문가, 정부 부처와 협의해 마련한 2024·2025학번 분리 교육 방안이 정해진 시한 내 복귀가 이뤄지지 않으면 무력화된다"며 "이로 인해 후배들의 학업과 대한민국 의사 양성 체계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식하고, 각자 숙고 끝에 책임 있는 결정을 내려달라"고 호소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대 #의대학장 #의대생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