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이 참석해 있다.
28일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이 대화하고 있다. ©현지 영상 캡처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28일(현지 시간)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담이 격렬한 설전 끝에 조기 종료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평화 협상에 대한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회담은 난항을 겪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오늘 백악관에서 매우 의미 있는 만남을 가졌다"면서도 "대화 없이 이해할 수 없는 많은 것을 배웠다"고 밝혔다. 그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의 개입이 협상에서 이점을 가져올 것이라 생각하지만, 나는 이득이 아닌 평화를 원한다"며 젤렌스키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이어 "그는 백악관에서 미국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평화를 위한 준비가 되면 다시 돌아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두 정상은 회담 도중 여러 차례 언성을 높이며 대립각을 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막대한 군사 지원을 해온 점을 강조하며 "우리의 원조에 대해 감사를 표한 적이 있느냐"고 따져 물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살인자'라고 지칭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이자,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은 협상에서 카드를 쥐고 있지 않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J.D. 밴스 부통령도 회담에 배석해 "백악관에서 미국 언론 앞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무례한 행동"이라고 지적하며,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에 대한 감사의 표현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에 대해 "미국은 처음부터 우리 편이었고, 트럼프 대통령도 그러할 것으로 믿는다"며 미국의 지속적인 지원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군이 전쟁을 시작했고, 그들이 이를 멈춰야 한다"면서도 "우크라이나는 정의롭고 항구적인 평화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 전쟁이 다시 시작될 가능성이 작다"며 다른 입장을 보였다. 회담 말미에는 "당신이 하는 행동은 미국에 대한 무례"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결국 회담은 예정된 시간을 채우지 못한 채 조기 종료됐다. 로이터통신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립적인 회담 이후 백악관을 일찍 떠났다"고 전했다. 예정됐던 공동 기자회견도 취소됐으며, 두 정상이 참석하기로 했던 광물 협정 서명식 역시 불발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백악관을 떠나며 언론과의 인터뷰도 하지 않았다.

#이번 회담이 파행으로 끝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채 독자적인 평화 협상을 추진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백악관은 회담 후 발표한 공식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밴스 부통령은 미국 국민과 세계에서 미국의 위치를 존중하는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항상 일하고 있다"며 "우리 국민이 이용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 내 여론조사를 인용하며 "우크라이나 국민의 절반 이상이 신속한 종전을 원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과 의회, 그리고 미국 국민에게 지원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면서도 "우크라이나는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평화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젤렌스키 #트럼프 #우크라이나 #러시아 #기독일보 #푸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