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가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희생자들을 기렸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에 위치한 국립묘지를 참배하고,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는 문구를 남겼다.
이날 김 후보는 5·18 당시 시민군 대변인이었던 윤상원 열사와 함께,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으로서 옥중에서 단식 끝에 사망한 박관현 열사의 묘역을 잇따라 찾았다. 특히 박 열사의 묘소 앞에서는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와 시간적으로는 엇갈렸지만, 동일한 공간인 광주교도소에서 수감 생활을 했던 인연을 소개했다.
박 열사는 1982년 4월 신군부에 의해 내란 중요 임무 종사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고, 광주교도소에 수감된 뒤 50일간의 단식 투쟁 끝에 목숨을 잃었다. 김 후보는 1986년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되어 1988년까지 복역했으며, 박 열사가 생을 마감했던 바로 그 방에서 1년간 수감 생활을 한 바 있다.
김 후보는 참배 이후 기자들과 만나 “제가 박관현 열사가 사망한 방에서 수감 생활을 했다”며 “그 방에 들어가 있을 때, 교도관이 ‘여기가 박관현이 죽어 나간 방이니 정신 차리라’고 했던 말이 잊히지 않는다”고 회고했다. 이어 “박 열사의 누님이 아직 생존해 계신데, 해마다 이곳에 오신다”며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의 이날 참배에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박대출 사무총장, 이정현·양향자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인요한 호남특별위원장 등 당 지도부와 선대위 인사들이 함께했다.
하지만 김 후보의 광주 방문은 일부 지역 시민단체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 회원 5명은 김 후보 일행이 5·18민주묘지에 도착하자 “내란세력은 지금 당장 광주를 떠나라” 등 구호를 외치며 항의했다. 일부는 “민주정부를 건설하자”는 문구를 외치며 현장 분위기가 일시적으로 긴장되기도 했다.
김 후보는 묘지 참배 후 광주교도소 옛 터도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도 박관현 열사와의 인연을 다시 떠올리며 눈물을 보였다. 김 후보는 교도소 재소 당시 기억을 언급하며 “제가 목포에서 이감되어 왔을 때, 독방에 들어가자마자 교도관이 ‘여기가 박관현이 죽은 방’이라고 말했다”며 “그 말이 아직도 머릿속에 생생히 남아 있다”고 전했다. 그는 “그 뒤로 매년 박관현 묘소는 꼭 참배한다”고 밝혔다.
이날 김 후보는 5·18 정신에 대해 “오월 정신은 남을 미워하거나 공격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는 고통받고 피 흘린 수많은 희생 위에 세워진 것”이라며 “이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일부 항의 시위와 관련해서는 “아까 저에게 고함을 치던 사람들도 있었지만, 그 사람들이 오월의 아픔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는 모르겠다”며 “모든 갈등과 소리들도 결국 대한민국의 자유와 인권을 향상시키는 과정으로 생각하고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이번 방문을 통해 광주와의 인연, 그리고 5·18 정신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다시 한번 분명히 하며 유세 행보를 이어갔다. 그의 행보는 보수 진영 대선 후보로서 5·18에 대한 태도 변화와 지역 통합 메시지를 전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