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서 직원들이 이동하고 있다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서 직원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대통령실을 대상으로 진행한 압수수색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VIP 격노설’과 관련된 핵심 자료 일부를 확보했다고 13일 밝혔다. 공수처는 지난 7일부터 이틀간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에 대한 강제수사를 벌인 후, 필요한 수사자료 확보를 완료했다는 입장을 전했다.

공수처 관계자는 이날 오전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모든 자료를 확보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수사에 필요한 자료는 확보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자료의 성격이나 압수 대상에 대해선 "수사 관련 사항이므로 확인이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공수처의 이번 압수수색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해병대 순직 사건과 관련한 보고를 받은 뒤 크게 분노했다는 이른바 ‘VIP 격노설’의 진상을 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공수처는 당시 국가안보실 내부 회의 자료와 대통령실 출입기록, 그리고 관련 통화 기록 등을 확보하는 데 집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압수수색은 첫날인 7일 약 6시간에 걸쳐 강제 집행 형식으로 시도됐으나, 대상 기관과의 조율 과정에서 진전이 없었고, 결국 다음날인 8일 임의 제출 방식으로 전환됐다. 이후 오후 4시 30분경 압수수색이 종료됐으며, 공수처는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분석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수사에서는 특히 해병대 수사단이 작성한 순직 사건 관련 보고서의 브리핑이 갑작스럽게 취소되고, 경찰 이첩이 보류되는 과정에 있었던 통화 기록도 관심 대상에 포함됐다. 구체적으로는 대통령실 대표 전화로 알려진 ‘02-800-7070’ 번호의 서버 기록이 그 대상 중 하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추가 압수수색 가능성에 대해선 “현재는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있으며, 향후 수사팀의 판단에 따라 추가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역시 대통령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공수처와의 수사 공조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수처는 “현 시점에서는 수사 내용을 공유하고 있지 않지만, 필요시 공유할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다만 “공조수사본부가 공식적으로 해체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향후 협력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사 중인 또 다른 핵심 사안인 해병 순직 사건 관련 ‘구명로비’ 의혹과 관련해서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 작업을 모두 마쳤다고 공수처는 밝혔다. 포렌식은 지난달 30일과 이달 9일, 임 전 사단장이 참관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공수처는 그 결과물을 현재 검토 중이다.

임 전 사단장은 포렌식 이후 언론에 “구명로비 당사자로 지목된 이종호 씨와 연락한 사실이 없다는 것이 포렌식에서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공수처는 “그건 본인의 주장일 뿐이며, 사실 여부는 아직 확인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외에도 공수처는 2016년 박근혜 정부 말기 논란이 된 ‘12·3 비상계엄 문건’ 관련 수사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사건은 당시 군 내부에서 작성된 계엄령 검토 문건과 관련된 위법성 여부를 따지는 사안으로, 향후 공수처의 또 다른 수사 축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수처 #압수수색 #윤석열 #기독일보 #기독일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