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 이틀째인 13일, 보수 지지세가 강한 경북 구미를 찾아 진영을 초월한 실용 정치를 강조하며 중도 및 보수층을 향한 메시지를 던졌다. 그는 이념보다는 실질적인 성과를 기준으로 정치인을 평가해야 한다며, “박정희 정책이면 어떻고 김대중 정책이면 어떻느냐. 먹고 사는 문제가 제일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이 후보는 구미역 광장에서 진행된 거리 유세에서 “좌측이든 우측이든, 빨강이든 파랑이든, 영남이든 호남이든 무슨 상관이냐”며 “필요하면 쓰는 것이고,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이면 버려야 한다”고 말하며 기존의 진영 논리로 정치인을 선택하는 구태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치의 실질적인 성과와 지역 발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공직자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지역이 발전하기도, 쇠퇴하기도 한다”며 “정치인들이 경쟁하게 해야 한다. 그저 지역 출신이냐, 좌파냐 우파냐만 따지지 말고, 누가 정말 일을 잘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향인 안동을 언급하며 지역 발전의 정체를 지적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제가 어릴 때 봤던 대구와 구미는 대단한 도시였다. 그런데 지금은 변한 게 별로 없다”며 “정치가 자녀들의 인생을 결정하는데, 왜 정치인의 색깔이나 출신으로 내 미래를 결정하느냐”고 반문했다.
이 후보는 또 “제발 이제 유치하게 편 가르지 말자. 졸렬하게 보복하지도 말자”며 국민의힘 일변도의 정치 지형을 바꾸기 위한 선택을 요청했다. 그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있다. 여러분이 맡긴 권력과 예산이 여러분을 위해 쓰이게 하려면 다른 정치인도 써봐야 한다”며 “이재명에게도 한 번 일을 시켜보라”고 호소했다.
보수 진영의 중심지로 불리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이 후보는 박정희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유권자들과의 접점을 찾으려는 모습도 보였다. 그는 “젊은 시절에는 박 전 대통령이 독재자라고 생각했다. 사법기관을 동원해 사법 살인을 저지르고, 고문하고, 장기 집권하고 민주주의를 말살한 몹시 나쁜 사람이라고 여겼다”고 솔직히 털어놓으면서도,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이 나라 산업화를 이끈 공도 인정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만약 박 전 대통령이 쿠데타가 아니라 민주적 절차로 집권하고, 인권을 탄압하지 않고, 장기 집권하지 않으며 경제만 잘 챙겼다면 아마 지금쯤 모두가 칭송하고 존경했을 것”이라며 산업화의 공과를 분리해 바라봐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또한 이 후보는 박 전 대통령의 정책 중 긍정적 측면을 계승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이분이 고속도로를 깔고 산업화를 이끌었다. 저도 그 중 하나를 따라 하겠다”며 “지방 군 단위 지역에 전력을 팔 수 있는 송배전망을 깔고, 태양광과 풍력 발전을 활성화하면 지역 일자리도 생기고, 에너지 산업도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유세에 앞서 더불어민주당 선대위는 대구·경북의 중도 및 보수 표심을 겨냥한 분위기 조성에 집중했다. 서영교 의원은 자신을 “경북의 딸”이라고 소개하며 “구미에서 바람을 일으켜 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골목을 다니면 ‘이재명을 찍을까 말까’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윤석열도, 김문수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과감히 이재명과 함께하자”고 말했다.
박창달 경북도당 공동 상임 선대위원장도 유세 현장에서 “지금 이재명의 트렌드는 실용과 공정”이라며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잘 잡기만 하면 된다. 구미에서 지난 선거 득표율 26%를 이번엔 50%까지 끌어올리자”고 독려했다.
김현권 공동 선대위원장 역시 “구미는 박정희의 도시”라며 “낙동강 모래사장에 국가 공단을 세워 50년간 대한민국을 먹여살린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시민들이 박정희를 좋아하는 이유는 보수여서가 아니라, 일을 잘했기 때문”이라며 “지금 대선 후보 중에서 일을 잘한다고 이미 검증된 사람은 이재명”이라고 주장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