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 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국회 의장-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인사말 후 취재진 퇴장을 기다리고 있다.
우원식 국회 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국회 의장-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인사말 후 취재진 퇴장을 기다리고 있다. ©뉴시스

여야가 3월 31일 국회 본회의 일정과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처리를 놓고 협상에 나섰지만, 세 차례에 걸친 원내대표 회동에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결국 이날 저녁 예정됐던 4차 회동도 열리지 못하면서, 4월 1일 국회 본회의 개의 여부는 우원식 국회의장의 최종 결정에 맡겨진 상황이다.

이날 오후 우 의장 주재로 진행된 여야 원내대표 간 3차 회동 직후, 양측은 협상이 결렬됐음을 확인하고 오후 8시쯤 4차 회동을 이어가기로 밝혔으나, 실질적인 추가 논의는 없었다. 여야 모두 협상이 충분히 진행됐다는 판단을 내리며 추가 회동을 무산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협상이 잘 안 된다"며 "국민의힘은 4월 1일 하루만 본회의를 여는 것조차 반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다음 주에 본회의를 열자는 입장이고, 우리는 오늘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의결한 대로 4월 1일부터 4일까지 연속 본회의를 열자는 입장이기 때문에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도 "세 차례 회동을 했지만 성과는 없었다"며 "민주당 측은 최고위원회의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추경 논의도 함께 표류 중이다. 여야는 지난 3월 18일, 정부에 이달 중 추경안을 편성하고 국회에 제출해달라고 공동 요청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산불 피해 복구, 통상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세 가지 분야에 집중한 약 10조 원 규모의 추경 편성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추경 규모를 둘러싼 여야의 입장 차는 여전하다. 민주당은 35조 원, 국민의힘은 15조 원 수준의 추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예산안 규모와 항목 구성을 둘러싼 협상에서도 간극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본회의 일정과 예산안 심의 절차에 대한 합의가 지연되면서, 국회가 민생 현안 대응에 제때 나서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회의장실은 여야 협상 상황을 주시하면서 4월 1일 본회의 개의 여부를 최종 판단할 예정이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경 #추경협상 #기독일보 #여야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