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여야 양당의 지지율 격차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전 수준으로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직후 최고치를 기록했던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3주 만에 급격히 하락하며 여당인 국민의힘과의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
한국갤럽이 발표한 1월 2주 차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79일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36%, 국민의힘은 34%를 기록했다. 이는 오차범위(±3.1%포인트) 내의 차이다. 지난달 17~19일 조사에서 민주당이 48%, 국민의힘이 24%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민주당은 3주 만에 12%포인트가 하락한 수치다.
한국갤럽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안 가결 직후 진보층과 중도층에서 두드러졌던 민주당 지지세가 다소 약해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비상계엄 사태 초기 여당 지지도 낙폭이 크지 않았고,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을 시종일관 유지하며 분당 조짐이 없었던 점이 8년 전 탄핵 정국과 큰 차이"라고 평가했다.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엠브레인퍼블릭 등 4개 여론조사기관이 지난 6~8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민주당 36%, 국민의힘 32%로 나타났다. 지난달 19일 조사에서 13%포인트 차이를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격차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민주당은 이러한 조사 결과에 대해 보수층의 '과표집' 현상이라며 일시적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보수 지지자들이 결집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부정선거 음모론 등 가짜뉴스로 인한 결집"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당 내부에서는 위기감도 감지된다. 한 민주당 지도부 의원은 "여당의 지지율이 이렇게 빨리 회복할지는 예상하지 못했다"며 "강경 보수층에서 시작된 결집이 공고해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대통령 경호처의 저항으로 윤 대통령 체포에 실패하자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층의 불만도 크다"고 덧붙였다.
특히 친명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성호 의원은 "국회의 다수당인 민주당이 현 국면을 해결하고 국정 안정과 경제 민생을 챙기는 모습을 보다 적극적으로 보이는 데 부족함이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지적했으며, 김영진 의원도 "민주당도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의 문제 등 과도하게 나가는 것은 절제하고, 전략적 인내가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