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거주·체류하는 유권자들을 위한 제21대 대통령선거 재외투표
해외에 거주·체류하는 유권자들을 위한 제21대 대통령선거 재외투표가 20일 오전 시작된 가운데 중국 베이징 주중대사관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넣고 있다. ©뉴시스

제21대 대통령선거의 재외투표가 20일(현지시간)부터 전 세계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이번 선거는 계엄령 선포와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돌발적 상황 속에 치러지는 만큼,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유권자들의 관심도 예년보다 높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재외투표는 20일부터 25일까지 엿새간, 118개국 223개 투표소에서 진행된다. 재외선거는 국내 선거와 달리 사전 등록을 마친 유권자만 투표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번에 등록을 마친 유권자 수는 총 25만8,254명이다. 이는 지난 20대 대선에 비해 14.2% 증가한 수치이며, 19대 대선보다는 12.3% 감소한 규모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지역 유권자가 12만8,932명으로 가장 많았고, 미주 지역은 7만5,607명, 유럽은 4만3,906명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5만1,885명), 일본(3만8,600명), 중국(2만5,154명) 순으로 등록자가 많았다.

재외투표는 현지 시간에 맞춰 개시되기 때문에 국가별로 투표 시작 시점이 다르다. 가장 먼저 투표가 시작된 곳은 날짜변경선 인근에 위치한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분관과 피지대사관으로, 한국시간 기준 20일 오전 5시에 문을 열었다. 오클랜드에서는 유권자 김현서 씨가 가장 먼저 투표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거주하는 예비 대학생이다.

반면, 가장 늦게 투표가 시작된 곳은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에 위치한 투표소다. 이곳은 한국시간으로 21일 오전 3시에 문을 열어 뉴질랜드와는 무려 22시간의 시차를 보였다. 이처럼 재외투표는 세계 각지의 시간대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갑작스러운 선거 일정에도 불구하고, 교민들의 투표 열기는 뜨거웠다. 중국 베이징의 주중대사관에 마련된 투표소에는 인근 도시 톈진에서 버스를 타고 세 시간이나 걸려 도착한 교민들이 줄을 이었다.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이재성 씨는 “업무를 비우고 일부러 달려왔다”며 “대한민국의 안정이 우선이라는 생각으로 투표했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도 교민들의 참여가 이어졌다.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의 코리안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된 투표소에는 비엔나에 거주 중인 도익환 씨(55) 등이 발길을 옮겼다. 도 씨는 “갑작스럽게 생겨난 대선이라 고민도 있었지만, 앞으로 5년간 한국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를 고민하며 투표했다”고 밝혔다.

투표 절차는 국내와 유사하나 일부는 다르다. 유권자는 투표소에 도착하면 먼저 신분 확인을 거쳐야 한다. 한국 여권이나 주민등록증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현지 정부가 발행한 공식 신분증도 사용할 수 있다. 신분이 확인되면 선거관리위원회 직인이 찍힌 투표용지와 이를 넣을 봉투를 받는다. 이후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서 기표한 뒤, 투표지를 접어 봉투에 밀봉한 후 감독관이 지켜보는 앞에서 투표함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투표용지에는 7명의 후보가 기재돼 있다. ▲1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2번 국민의힘 김문수, ▲4번 개혁신당 이준석, ▲5번 민주노동당 권영국, ▲6번 자유통일당 구주와, ▲7번 무소속 황교안, ▲8번 무소속 송진호 순이다. 다만 구주와 후보는 18일 사퇴했지만, 재외투표용지에는 해당 내용이 반영되지 않아 그의 이름도 그대로 인쇄됐다. 별도 표기 없이 투표는 진행되고 있다.

투표 종료 후에는 모든 절차가 철저히 관리된다. 선거참관인들이 투표함을 지켜보며, 실제 투표한 유권자 수와 투표봉투 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수거된 투표봉투는 공관 내 금고에 보관되며, 전 세계 모든 재외투표가 마무리된 뒤에는 외교행낭으로 봉인되어 본국으로 발송된다.

각국 공관은 부정선거 우려에 대비해 엄격한 감시 체계를 운영 중이다. 선거관리위원회 위원들과 정당 추천 참관인들이 상시로 배치돼 현장을 지키고 있으며, 투표와 봉인, 보관, 발송 전 과정은 24시간 보안 감시 하에 진행된다.

혼란의 정국 속에서도, 전 세계 교민들의 투표 참여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를 지키려는 작은 움직임으로 기록되고 있다. 본투표에 앞서 실시되는 재외투표는 오는 25일까지 계속된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21대대선 #재외국민투표 #기독일보 #기독일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