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14일 당의 대통령선거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당 지도부와 선거관리위원회가 자신이 주장한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을 받아들이지 않자, 결국 경선 보이콧이라는 강수를 둔 것이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리고 배제한 민주당 경선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그는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6·3 조기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인물로, 혼란한 정국 속 정치 복원을 앞당기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그는 "민주당의 압도적인 정권 교체를 위해 18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했지만, 당 선관위는 어떤 설명도 논의도 없이 이를 불가하다고 결정했다"며 "후보들 간 협의조차 없는 경선 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당이 역선택 가능성을 이유로 국민선거인단 제도를 채택하지 않은 데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김 전 의원은 "신천지가 두렵고 전광훈이 무서운데 어떻게 선거를 치르겠느냐"며 "차라리 신천지와 사랑제일교회 명단에 오른 사람들의 참정권을 박탈하겠다고 하는 것이 더 솔직한 방식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당내 일부 인사들이 특정 종교단체나 정치 성향 유권자들의 조직적 개입을 우려하며 국민경선 확대에 신중한 태도를 보인 데 대한 정면 반박이다.
그는 이어 "저는 탄핵 이후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출마를 선언했다"며 "87년 체제를 유지한 채 취임하는 대통령은 누구든 증오와 분노의 정치를 키우고, 권력 사유화의 유혹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미래, 대한민국 정치의 발전, 김대중·노무현 정신의 계승, 그리고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정치가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하겠다"며, 당분간 정치 행보에 대한 숙고의 시간을 갖겠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 측은 이번 결정을 대선 불출마 선언으로 해석해선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향후 무소속 출마를 포함한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심사숙고 중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후 중앙위원회를 열어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 제정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조기 대선을 위한 경선 룰은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확정됐다. 당 선거관리위원회는 조만간 경선 일정과 후보자 등록 절차 등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