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한 예수

예수 그리스도는
이 땅에서 항상 고독하였다
사람들은 그의 얼굴에서
웃음을 볼 수가 없었다

모두다 예수 그리스도에게
도움을 청할 뿐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서성거리는 사람들뿐이었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문제에만
예수 그리스도가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라고 원했다
이 땅에 오시사 복음의 문을 열고
십자가를 지고 가야 한다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들의 문제였다

예수 그리스도는
고독에 머물러 있거나
고독 때문에 절망하지 않으셨다
무리를 떠나서
혼자만의 하나님과의 교제를 누리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이 땅에서 항상 고독하였다

용혜원 시인
용혜원 시인

대중들의 사랑받는 시인, 용혜원 시인(1952~ )은 서울 출생으로 성결대를 나온 목사이다. 시집뿐 아니라 수필집, 신앙 예화집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의 저자로 수십권의 책을 꾸준히 펴냈다. 개봉동에 있는 '한돌성결교회' 담임목사였으며 서울과 대전극동방송 등을 통하여 방송선교에도 동참하였다.

조덕영 박사
조덕영 박사

용혜원 시인은 필자가 신학을 공부한 성결학원(예성)의 선배였다. 하지만 용 시인을 개인적으로 만난 건 90년대 중반 대전 한남대에서의 집회(아마도 이홍남 목사, 원동연 박사가 주관한 '성경적 5차원 교육법'의 '츄페' 모임)가 마지막이었다. 당시 집회 강사였기에 겨우 숙소였던 기숙사 안에서 늦은 시간 잠시 만나 몇 마디 인사를 나누었던 기억이 난다. 서로 피곤한 늦은 저녁 시간이라 깊은 교제를 나누지 못한 아쉬움이 안타까움으로 남아 있다.

​예수님의 생전 직업은 아버지 요셉을 따라 목수였다. 예수님의 유년의 고향 갈릴리 나사렛 골목 언덕 길을 지나가다 보면 놀랍게도 작은 목공소들이 여전히 많이 눈에 보인다. 용 시인은 자신의 고백시 '십자가를 만든 목수'에서 '나는 주님이 지신/ 십자가를 만든 목수입니다'라고 고백한다. '용서하소서/ 용서하소서/ 내가 만든 십자가에/ 주님이 달리시다니요'라 했다. 그러면서 용 시인은 '주님 계신 곳에 가고 싶어라'라고 노래한다. 필자는 '예수 그리스도가 날 사랑하기에', '나는 가리라 이 길을 가리라'라는 용혜원 시인의 아름다운 마음과 시편들을 읖조리곤 한다. 용 시인의 신앙 정서와 詩精神을 늘 존경하기에.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신학자, 시인)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덕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