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 중인 관세 강화 정책이 세계 경제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는 1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자동차 관세, 대중국 20% 추가 관세 등이 시행될 경우, 오는 2027년까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0.6%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정한 2027년 세계 GDP는 127조 달러(약 18경 7천조 원)에 달한다. 이 수치를 기준으로 단순 계산하면, 0.6%의 감소는 약 7630억 달러(한화 약 1120조 원)의 손실로 이어지는 셈이다.
국가별 영향을 보면 미국의 경제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됐다. 제트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미국의 2027년 GDP는 정책이 없었을 경우와 비교해 2.5% 하락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특히 중국 등으로부터 수입되는 원자재와 부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에 의존하는 미국 제조기업들의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관세가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주요 변수로 지적됐다. 미국 예일대 예산연구소(TBL)는 지난달 28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자동차 관세만으로도 미국 내 1가구당 연간 가처분소득이 492~615달러(약 72만~91만 원)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과 일본은 일부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제트로는 한국의 GDP가 0.5%, 일본은 0.2%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제트로는 "상호관세는 상대국과 동등한 수준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본 관세율이 낮은 한국과 일본은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고율 관세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해당 제품의 판매가 줄어들 경우, 일본 및 한국산 대체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수요 전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특히 전자제품과 자동차, 소비재 분야에서 이러한 전환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향후 관세 정책이 실제 경제에 미칠 영향은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일본도 일부 품목, 예를 들어 쌀과 같은 농산물에 대해 고관세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미국이 이러한 점을 문제 삼아 일본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1일 밤 또는 2일 중으로 상호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도 지난 3월 31일 공개한 연례 보고서에서 일본 정부의 대형 기술 기업 규제를 비관세 장벽으로 지목하며, 일본 측에 자동차 관련 규제 완화와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압박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