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 달간 유예했던 캐나다와 멕시코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를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당초 2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협상을 위해 한 달간 연기된 조치였다. 하지만 협상이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강행하기로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열린 TSMC의 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내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각 25%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들은 이제 관세를 부담해야 할 것"이라며 "미국 내에 자동차 공장과 같은 생산 시설을 건설하면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한 조치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협상을 통한 관세 유예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멕시코와 캐나다를 위한 여지는 없다(No room left for Mexico or for Canada)"고 단언했다. 이어 "관세는 이미 준비되었으며, 내일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중국에 대해서도 추가 관세를 10%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에 대한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엄청난 양의 펜타닐이 중국에서 멕시코와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유입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중국에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미국이 마약 문제를 이유로 중국에 경제적 압박을 가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르면, 캐나다산 에너지 자원을 제외한 모든 캐나다 및 멕시코산 수입품에 25%의 추가 관세가 적용된다. 에너지 자원에는 10%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는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고율 관세 정책을 북미 지역으로 확장하는 조치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 행정명령에는 상대국이 보복 조치에 나설 경우 미국이 추가적인 보복 관세로 대응할 수 있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어, 캐나다와 멕시코가 보복 관세를 시행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미국과 북미 국가들 간의 무역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치는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한국 기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멕시코에는 기아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등 주요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이들 기업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2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될 경우 생산 비용 증가와 가격 경쟁력 저하로 인해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