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0일 "국가와 국민을 위한 탈이념·탈진영 실용 정치만이 국민 통합과 회복·정상화, 성장·재도약의 동력"이라며 현실적 실용 정치를 통한 '공정 성장'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회복과 성장은 더 나은 내일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며 "'기본사회를 위한 회복과 성장 위원회'를 설치하고 당력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초과학기술 신문명이 초래할 사회적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며 "주거, 금융, 교육, 의료, 공공서비스 등 국민의 삶 전반에서 공동체가 기본적 삶을 함께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회복과 성장'을 연설의 핵심 키워드로 삼으며, 생계 해결을 의미하는 '먹사니즘'에 이어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세상을 뜻하는 '잘사니즘'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그는 "정치가 합리적 균형점을 찾아 사회적 대타협을 이루고, 모두가 행복한 삶을 꿈꿀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경제를 살리는 데 이념이 무슨 소용이며, 민생을 살리는 데 색깔이 무슨 의미냐"며 "진보든 보수든 유용한 정책이라면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함께 잘 사는 세상을 위해 필요하다면 어떤 정책도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30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주장하며, 상생소비쿠폰, 소상공인 손해보상, 지역화폐 지원, 감염병 대응, 중증외상 전문의 양성, 공공주택과 지방SOC, 고교 무상교육 국비 지원 등을 주요 항목으로 제시했다.

또한, AI(인공지능), 반도체 등 미래 산업 투자 필요성을 강조하며 "추경이 필요하다면 특정 항목을 고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는 여당이 민생지원금을 이유로 추경을 반대할 경우, 민주당이 조정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표는 산업 정책과 관련해 ▲인공지능(AI) ▲바이오(Bio) ▲콘텐츠·문화산업(Contents·Culture) ▲방위산업(Defense) ▲에너지(Energy) ▲제조업(Factory) 등 'ABCDEF' 핵심 산업을 제시했다.

그는 "기업이 폐업하면 지역 경제가 무너진다"며 포항, 울산, 고양, 서산, 당진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산업 구조 재편, 직업 전환 훈련, 상권 활성화 등을 위한 여야 협력을 요청했다.

이 대표는 정년 연장과 연금 개혁 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노동시간 단축과 '노동 유연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업 발전과 노동권 보호는 상충 관계가 아니다.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노동 유연성을 확대해 안정적인 고용을 유지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정 산업에서 노동시간 유연화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총 노동시간 연장이나 노동 대가 회피 수단으로 악용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반도체 특별법의 '연구개발(R&D) 분야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 논란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을 제안하며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이 행복한 나라를 만드는 공복의 사명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민주연구원 산하 정책소통 플랫폼 '모두의질문Q(큐)'를 통해 국민 중심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경천동지할 대통령의 친위 군사 쿠데타가 현실이 됐다. 내란잔당의 폭동과 저항이 70여 일째 지속되며 대한민국의 모든 성취가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며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이어 "민주공화정의 가치를 존중하는 모든 세력과 '헌정수호연대'를 구성해 헌정파괴 세력에 맞서 싸우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우리 국민은 내란조차 기회로 만들 만큼 용감하고 지혜롭다"며 "민주당은 국민 통합의 책무를 다하고, 공존과 소통, 대화와 타협의 문화를 복원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대표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대비해 국회 차원의 '통상대책특별위원회' 구성을 거듭 제안했다. 그는 "트럼프 2기 출범과 함께 국제질서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미국이 중국에 10%,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정치가 나서서 통상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유민주진영의 일원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군사 대비 태세를 확고히 하고 북핵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한편, 소통 창구를 열어 대화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명 #우클릭 #기독일보 #실용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