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발전연구원(이사장 조일래 목사)이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사회 '저출산' 문제를 놓고 그 해법을 찾아봤다
'저출산' 주제로 열린 한국사회발전연구원 제4차 세미나를 마치고. ©한국사회발전연구원 제공

[기독일보 조은식 기자] 한국교회 싱크탱크로 한국사회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한국사회발전연구원(이사장 조일래 목사)이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사회 '저출산' 문제를 놓고 그 해법을 찾아봤다. "저출산의 벽을 넘어 열린 미래로"란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특별히 김성건 박사(서원대 명예교수, 사회교육과)는 "한국사회 저출산 문제 극복을 위한 종교의 역할"을 주제로 발제했다.

김성건 박사는 최근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이하 종지협) 7대 종단(의장 가톨릭 김희중 대주교) 대표들이 지난 2018년 4월 30일에 모여 ‘저출산 극복을 위한 국민운동 선언문’을 발표했던 것을 소개하며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김희중 대주교의 언론 인터뷰도 소개했는데, 김 대주교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서 젊은 부부들에게 정부가 재정적 지원을 해주는 것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김 박사는 "저출산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고, ‘왜 아이를 낳아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사회 여건’보다는 ‘개인’의 가치 혹은 신념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 주장했다. 결혼과 출산, 육아가 행복한 삶으로 이어진다는 가치 확립을 위한 노력을 정부가 아닌 민간(특히 종교계)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성건 박사는 미국의 사례를 들어 "일반적으로 종교성(religiosity)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높다"고 소개하고, "출산율이 낮은 세속주의자들과 대조적으로 성공적인 종교들은 한편으로는 종교적 사회화에서 아버지의 역할을 강조하고 다른 한편으로 그들의 신봉자들에게는 출산의 이점을 설파하고 있다"고 이야기 했다.

한 예로 그는 "최근 국내의 개신교회들 가운데 일요예배에 2,000명 이상의 신도가 출석하는 대형교회 3곳의 전임 기혼 사역자들(담임목사, 부목사, 전도사)(총 69명)을 표본으로 해서 이들의 1인당 평균 자녀수를 실제로 파악해 보았는데, 합계출산율이 사실상 2.5명가량 될 것이라 추론할 수 있었다"면서 "이들이 일반 평신도보다 종교성이 한층 높을 것이라고 가정할 때, 이들의 ‘긍정적’ 출산관이 사목 대상인 일반 평신도 집단으로 자연스럽게 효과적으로 전파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한 설문조사를 통계로 들어 "한국사회에서 인구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는 기독교(개신교와 가톨릭)가 국가적 난제로까지 거론되는 저출산을 극복하거나 해결하는 데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태 등에 불교 카톨릭 등보다 훨씬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개신교가 "현 시점에서 저출산이라는 한국의 사회문제를 약간이라도 개선하는 데는 국내 여러 종교 중 종교적 믿음과 헌신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세대 간 종교적 사회화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기에 선도적으로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했다.

그럼 개신교는 저출산 문제를 앞에 두고 어떻게 해야할까? 김성건 박사는 ▶신뢰와 희망의 대한민국을 재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긍정의 신학'이 필요하고, ▶'성 혁명' 시대, 가정을 살리는 교회가 될 수 있도록 '가정 사역'을 해야 하며 ▶종교적 사회화와 크리스천 미혼남녀들의 '만남의 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교회가 ▶섬기는 마을교회로서 공동육아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건 박사는 "현재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는데 한국교회가 참신하고 의미 있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 우선 교회 지도자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사상적 빈곤’을 극복한 바탕 위에 교회의 재정이 지역사회를 섬기는 것은 물론, 다음 세대를 기르고 지원하는 방향으로 좀 더 쓰이도록 사역의 우선순위와 통상적인 교회구조를 변화시켜야 할 것"이라 주장했다.

그리고 "신도들의 정성이 모아진 헌금으로 이루어진 교회 예산이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사회의 전반적 ‘전문화’를 반영하듯 이제는 교회의 공동육아나 이혼 위기 가정 회복 프로그램 등을 운용하는데 인력, 영역 및 프로그램 등 제반 측면에서 한층 ‘전문화’가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김 박사는 "저출산의 벽을 넘어 밝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 이제는 정부만이 아닌 민간(특히 종교계) 차원에서도 결혼과 출산, 육아가 행복한 삶으로 이어진다는 가치 확립을 위한 노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사회발전연구원 #저출산 #김성건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