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한 미국대사관이 신규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비자 인터뷰 절차를 잠정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전 세계 미국 대사관 및 영사관에 내린 관련 지침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
28일 유학생 커뮤니티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학 비자를 신청하려는 이들이 주한 미국대사관 홈페이지에서 인터뷰 예약을 시도했지만, 날짜 선택이 불가능해 신규 인터뷰 진행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라고 전했다.
대사관은 현재 인터뷰 중단 여부에 대해 명확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언론의 질의에 대해 "국무부의 비이민 비자 인터뷰 예약 일정은 유동적"이라며, "비자 신청자는 여전히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고, 영사과는 제출된 신청서를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일정을 지속적으로 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정부가 비자 심사 과정에서 신청자의 소셜미디어 활동 내역 등 디지털 정보를 보다 심층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사전 정비 작업으로 해석된다. 대사관 관계자는 "2019년부터 국무부는 모든 이민 및 비이민 비자 신청자에게 소셜미디어 정보 제공을 요구해왔다"며, "비자 심사에 있어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치전문지 폴리티코와 CNN 보도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전 세계 미국 대사관과 영사관에 외교전문을 보내 유학생 비자 인터뷰 절차를 즉시 중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외교전문에는 "이번 명령은 즉시 시행되며, SNS 심사 및 검증 확대를 준비하기 위해 추가 지침이 발송될 때까지 학생 및 교환 방문자 비자 예약 용량을 확대하지 말라"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미국 정부는 며칠 내로 보다 구체적인 지침을 추가로 전달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의 직접적인 대상은 F 비자(학업 목적), M 비자(직업훈련 목적), J 비자(교환 방문 목적) 등으로, 미국 유학이나 교류 프로그램을 준비 중인 학생들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는 과거에도 비자 신청자들의 온라인 활동에 대한 검토를 강화해 왔으며, 이를 통해 보안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처럼 전면적인 인터뷰 중단 조치가 병행된 것은 이례적이다. 이에 따라 비자 발급 과정에서 상당한 지연과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