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층별론 차이…반대, 민주당 39.6% 국힘 73.4%
김문수 후보 “성소수자 이유로 특혜 준다면 역차별”
이재명 후보 “방향 맞지만 현안 복잡” 유보적 입장

차별금지법
©여론조사공정(주)
과거 국회에서 발의됐던 포괄적 차별금지법에 전과나 동성애 등 성적지향이 포함된 것에 응답자 절반 이상이 공감하지 않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인터넷 언론 뉴스피릿이 여론조사 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지난 20~2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전과자·동성애자도 차별하지 말자는 차별금지법’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2.3%로 나타났다. “공감한다”는 응답은 31.6%,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6.1%로 각각 조사됐다.

다만 정당 지지층별로 이에 대한 입장차가 확연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선 오히려 찬성(50.4%)이 반대(39.6%)보다 많았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공감하지 않는다”가 74.3%로 압도적이었다.

포괄적 차별금지법 문제는 6.3 대선을 앞두고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최근 방송연설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과거 한 행사에 참석해서 공공기관, 금융기관에 성소수자가 30%를 넘기도록 하고 차별금지법을 제정하겠다고 했다”며 “저 역시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아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성소수자라는 이유만으로 취업에 특혜를 준다면 성소수자가 아닌 사람들에겐 오히려 역차별이 되지 않겠나”라고 했다.

김 후보는 “또한 민주당 의원들이 발의했던 포괄적 차별금지법은 고용을 비롯한 모든 영역에 있어서 성적지향, 성별정체성은 물론 범죄 전과자까지도 차별해선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이 법대로라면 조두순이 초등학교 수위를 한다고 해도 막으면 차별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지난 18일 TV 토론에서 이 법에 대해 “방향은 맞다고 보지만, 지금 너무 현안들이 복잡한 게 많이 얽혀 있어서 이걸로 새롭게 논쟁, 갈등이 심화되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을 하기 어렵다”며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김문수 후보 이재명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왼쪽)와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뉴시스
이 후보는 성남시장 시절이던 지난 2017년 3월 8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세계 여성의 날 기념 제33회 한국여성대회 기념식 및 성평등 정책토크’에 참석해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 소위 성소수자가 30%를 반드시 넘길 수 있도록, 한쪽 성비가 70%가 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하기도 했었다.

이어 그는 “그리고 거기에 대해서 차별금지법을 당연히 제정하고, 학교에서 성평등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겠다. 어릴 때부터 가르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후 이런 발언이 논란이 되자 이 후보 측은 “성소수자 30% 발언의 맥락은 남성에 비해 임금차별을 받고 있는 여성을 잘못 표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차별금지법과 관련해서는 국민 모두가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다. 성소수자에 대해서는 존재 자체를 부정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라며 “성평등 교육의 경우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선입견에 대해 어린 시절부터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차별금지법 #김문수 #이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