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대 중앙박물관 평양성 탈환도
평양성 탈환도 사진. ©한남대 제공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이 소장한 ‘평양성 탈환도’가 2025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박물관협회가 추진하는 ‘뮤지엄×만나다’ 사업에 선정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에 따라 이 유물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전국적으로 알려질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전국 박물관과 미술관이 소장한 문화 자산과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발굴해 홍보하는 프로그램이다. 대전 지역에서는 한남대 중앙박물관의 ‘평양성 탈환도’와 대전시립박물관이 소장한 한글 편지가 선정됐다.

‘평양성 탈환도’는 임진왜란 당시 평양성 전투를 8폭 병풍 형식으로 민화풍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전투의 상황과 주요 인물들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동아시아 역사의 중요한 순간을 기록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군사의 복장, 무기, 배경 등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어 역사적 자료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1593년 평양성 전투는 전세를 뒤바꾼 중요한 전투로 평가된다. 이를 기록한 8폭 병풍은 국립중앙박물관과 한남대 중앙박물관에 각각 한 점씩 소장되어 있다. 한남대가 소장한 이 작품은 1913년 한국을 방문한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존 크레인이 수집한 것으로, 이후 그의 아들 폴 크레인이 한남대 인돈학술원에 기증했다. 제작연도와 작가는 미상이지만, 18세기 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남대 변봉규 박물관장은 “‘평양성 탈환도’는 단순히 한 폭의 그림이 아니라 역사와 군사, 예술적 가치를 모두 지닌 중요한 유산임에도 그 가치가 잘 알려지지 않았다”며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이러한 가치들이 재조명받기를 바라며 지역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한남대 중앙박물관을 찾아달라”고 전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남대 #한남대학교 #한남대중앙박물관 #평양성탈환도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박물관협회 #뮤지엄×만나다사업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