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한 러시아 대사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펼쳐질 전후 재건 사업에 한국 기업들이 적극 참여해주길 바란다는 기대를 드러냈다. 특히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한국 기업들이 러시아의 피해 지역에 진출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는 26일 서울 중구 주한러시아대사관에서 가진 한국 통신사와의 인터뷰에서 "전후 재건 과정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해주길 바란다"며 "한국은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피해를 입은 러시아 지역에는 이러한 역량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가 언급한 주요 재건 대상 지역은 2022년 러시아가 자국 헌법상 영토로 편입한 우크라이나의 루한스크, 도네츠크, 자포리자, 헤르손 등 네 곳이다. 그는 "1991년 이후 해당 지역은 지속적으로 낙후되었고, 소련 시절에 건설된 기반시설들도 파괴되어 전면적인 복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국 기업 복귀에 대한 긍정적 신호
지노비예프 대사는 한국 기업들의 러시아 시장 복귀 가능성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견해를 내비쳤다. 그는 "러시아는 단 한 기업도 강제로 추방한 적이 없다. 떠나길 원했던 기업은 자발적으로 떠났고, 남은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에서 번창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기업들이 러시아를 떠난 것은 외부의 정치적 압력에 따른 것이었으며, 다수의 기업이 현재 복귀를 희망하고 있다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한국 기업들은 철수를 정치적인 제스처로 활용하지 않았다. 우리는 이러한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러시아 시장은 언제든지 복귀를 환영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제재 해제와 관계 정상화 조건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질문에는 한국 정부의 대러시아 제재 조치 해제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현재 한국은 러시아에 대해 다양한 제재를 시행 중이며, 러시아로 수출 시 허가가 필요한 품목만도 1,341개에 달한다"며 "이러한 제재를 도입한 모든 국가는 러시아의 '비우호국' 명단에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치적, 경제적 관계의 복원과 양국 기업 간 협력 정상화를 위해서는 이 같은 제재 조치가 먼저 철회돼야 한다"며 "다만 우리는 이를 강요하지 않으며, 각국의 주권적 판단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직항 노선 복원 촉구
이와 함께 지노비예프 대사는 양국 간 직항 항공편의 부재가 양국 국민 간 교류를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직항 노선이 없는 것은, 양국 국민의 접촉을 원치 않는다는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며 "인도주의적 차원에서라도 직항 노선은 조속히 복원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고려인을 포함해 많은 이들이 가족과의 재회를 위해 직항편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며 "러시아는 이 문제 해결에 적극적이나, 한국 정부는 아직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어 아쉽다"고 언급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