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기독일보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2일 발표할 예정인 새로운 관세 조치는 전면적인 방식이 아닌 특정 국가와 산업을 겨냥한 '표적 관세'가 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경제지 포춘은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보도를 인용해, 이번 조치는 미국의 관세 체계를 대폭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암시했던 전방위적이고 전 세계적인 조치보다는 전략적으로 제한된 형태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미국과의 무역에서 수지 흑자를 기록 중인 일부 국가들만을 대상으로 적용될 전망이다. 반면, 미국이 흑자를 기록하거나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닌 국가들은 이번 조치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특정 국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또한 익명의 미국 행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번 발표에는 특정 산업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 부과 계획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밝혔듯, 자동차와 반도체 등 핵심 산업에 대한 추가 조치는 별도로 추진될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 백악관 연설에서 "4월 2일은 해방의 날이 될 것"이라며, 이번 조치를 통해 수백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동맹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 상대국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하며, 미국 산업 보호와 무역 적자 개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을 염두에 두고 경제 정책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관세 부과 대상과 범위는 다소 제한적일 수 있지만, 동맹국들과의 무역 관계를 재조정하고, 미국 내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려는 메시지가 뚜렷하게 읽힌다.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자동차, 반도체 등 전략 산업에 어떤 수준의 관세를 실제로 도입할지, 그리고 이에 대한 주요 국가들의 반응이 어떻게 전개될지가 핵심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발표는 국제 무역 질서의 향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분수령이 될 수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표적관세 #전방위관세 #전략적관세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