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할 방침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의 복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전국 의대 총장들은 학생들의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고, 오는 21일까지 반려하기로 결정했다.

◈전국 의대 총장, 휴학계 반려 방침 논의

19일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온라인 긴급회의를 열어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 결과,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고 21일까지 반려하기로 합의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이미 휴학계를 반려한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는 이달 초, 의대생들이 3월 말까지 복귀하면 2026학년도 모집 인원을 5058명(2000명 증원)에서 3058명으로 조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모집 인원을 다시 5058명으로 확정하고, 특례 없이 학칙대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각 의대 총장들에게 대규모 휴학을 승인하지 말라는 공문을 보내며 복귀를 촉구했다.

◈총장들 "교육 정상화가 최우선"

회의에 참석한 총장들은 "학생들의 고통과 어려움을 이해하지만, 무엇보다 의대 교육 정상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며 학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편입학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이날 의총협 회의에서는 편입학과 관련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통상적으로 의대에서는 결원이 발생하더라도 소수에 그쳐 편입학을 시행하는 경우가 드물다. 지난해 대규모 휴학 사태 당시에도 교육부의 학사 유연화 조치에 따라 결원 충원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의총협 회장인 양오봉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회장(전북대 총장)은 "휴학계를 즉시 반려하고, 모든 학사 운영을 학칙에 따라 원칙적으로 적용하기로 합의했다"며 "편입학 문제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다.

◈정부, 결원 발생 시 편입 가능성 시사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의대국장)은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평소에도 결원이 발생하면 대학들은 일반 편입학 절차를 통해 충원해 왔다"며 "의대의 경우 결원이 발생하는 사례가 적지만, 결원이 생기면 일반적인 절차를 따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까지 편입학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대 #의대총장 #의과대학 #의대생휴학계반려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