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국민 건강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률이 급격히 상승하고, 국민 건강수명은 2019년 이후 정체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단체 활동 참여율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자살률(인구 10만 명당)은 27.3명으로 전년(25.2명) 대비 2.1명 증가했다. 이는 2014년(27.3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보였던 자살률이 2023년 들어 급등한 것이다.

남성 자살률은 2022년 35.3명에서 38.3명으로 3명 증가했으며, 여성의 경우에도 15.1명에서 16.5명으로 상승했다. 보건복지부는 이에 대해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 심화 등 후유증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기대수명에서 질병 및 장애 기간을 제외한 '건강수명'은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면서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수명은 2000년 66.6세, 2005년 68.5세, 2010년 70.1세, 2015년 71.5세로 꾸준히 상승했으나, 2019년 이후 3년 연속 72.5세를 기록하며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비만율도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2019년 33.8%였던 비만율은 2020년 38.3%로 급등한 후 2021년 37.1%, 2022년 37.2%, 2023년 37.2%를 기록하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코로나19 유행이 종식되면서 사회단체 및 모임 참여율이 급등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2019년 51.8%였던 사회단체 참여율은 2020년 46.4%로 하락했으나, 이후 2021년 47.7%, 2022년 50.9%로 반등한 데 이어 2023년에는 58.2%로 급등했다.

사회단체 참여율은 정당, 노동조합, 종교단체, 동호회, 시민단체, 지역사회 모임, 자원봉사, 기부단체, 동창회, 향우회 등에 참여하는 인구 비율을 의미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단체 모임이 크게 줄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참여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동창회나 동호회 참여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2023년 국민 삶의 만족도는 6.4점으로 전년(6.5점) 대비 소폭 하락했다. 특히 가구 소득이 200만 원 미만인 계층에서 감소폭(-0.3%포인트)이 가장 컸다.

한편, 우울과 걱정 정도를 나타내는 '부정정서' 지표는 2020년 3.7점에서 2021년 4.0점으로 증가했으나, 이후 2022년 3.3점, 2023년 3.1점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긍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긍정정서' 지표는 2020년 6.4점에서 2021년 6.7점으로 상승한 이후 3년째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민 삶의 질' 보고서는 ▲가족·공동체 ▲건강 ▲교육 ▲고용·임금 ▲소득·소비·자산 ▲여가 ▲주거 ▲환경 ▲안전 ▲시민참여 ▲주관적 웰빙 등 11개 영역의 71개 지표를 분석해 국민 삶의 질 변화를 평가하는 자료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총 61개 지표가 업데이트되었으며, 이 중 전기 대비 개선된 지표는 31개, 악화된 지표는 23개,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 지표는 7개로 나타났다.

개선된 지표로는 고용률, 학교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인지율, 주관적 건강 상태, 가구 순자산, 대기질 및 소음 지표 등이 포함됐다. 반면, 실업률, 가족관계 만족도, 기후변화 불안도, 안전에 대한 인식 등은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 건강과 정신적 웰빙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향후 정부 차원의 대응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살률 #국민건강지표 #코로나 #팬데믹 #기독일보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