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에게 "당이 지켜줄 것"이라며 유리한 진술을 회유했다는 의혹이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17일 국민의힘 단독으로 열린 국방위 현안 질의에서 여당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민주당의 개입 정황을 집중 부각하며, 당시 곽 전 사령관이 민주당의 압박 속에서 진술을 번복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날 국방위는 성일종 위원장 주도로 개최됐으며, 김선호 국방장관 직무대행과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출석했다. 김 단장은 회의에서 "곽종근 전 사령관이 민주당 측으로부터 회유를 받은 정황이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지난해 12월 10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 전체회의 전, 민주당 박범계·부승찬 의원과의 비공개 면담에서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당시 민주당의 한 전문위원이 곽 전 사령관에게 이런 말을 했고, 박범계 의원이 노란 메모지에 그의 말을 기록한 후 한 번 더 해보라고 요구했다"며 "곽 전 사령관이 김병주 의원의 유튜브에 출연한 것도 처음엔 반대했지만, 결국 출연을 강행했고 예상 질문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고 설명했다.
여당 의원들은 이에 대해 "민주당이 곽 전 사령관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했다는 증거"라고 강조하며, 당시 곽 전 사령관의 증언 번복이 민주당의 압력에 의한 것이었음을 시사했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김 단장에게 "민주당 측에서 변호사를 지원해주겠다는 약속도 있었느냐"고 물었고, 김 단장은 "박범계 의원과 부승찬 의원이 각각 1명씩 변호사를 언급했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합의되지 않은 국방위 회의"라며 반발하며 회의장을 퇴장했다. 허영 민주당 의원은 "국방위 회의는 여야 합의로 운영되어야 하지만, 이번 회의는 일방적 통보에 의해 진행됐다"며 "이런 방식으로 질의가 진행되면, 오히려 회유와 강요에 의해 진술이 왜곡될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
이날 현안 질의에서는 국회 단전 조치를 둘러싼 진실공방도 벌어졌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국회 단전을 직접 지시했다고 주장했지만, 김 단장은 "대통령 지시는 전혀 없었고, 곽 전 사령관이 단독으로 결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곽 전 사령관이 12월 4일 0시 30분에 대통령과 통화한 후 스스로 단전 결정을 내렸다"며 "잠시 복도 불이 꺼졌지만 비상등이 자동으로 켜져 ‘암흑천지’ 상태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또한 곽 전 사령관이 계엄 이후 개별적으로 언론 인터뷰를 한 점을 문제 삼았다. 성일종 위원장은 "군인복무법 17조에 따르면 군인의 무분별한 언론 접촉이 금지되어 있다"며 "이번 사건 이후 관련자들에 대한 엄중한 인사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선호 국방장관 직무대행도 "책임을 분명히 묻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회의에서 민주당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정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당시 계엄군 투입이 단순한 작전 수행이었음을 강조했다. 김 단장은 "당시 국회 관계자들이 오히려 군인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욕설을 퍼부었다"며 "마치 우리를 이용해 폭동을 일으키려는 느낌을 받았다"고도 덧붙였다.
이번 국방위 현안 질의를 통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민주당과 곽 전 사령관 간의 접촉 의혹이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향후 관련 진상조사와 추가 증언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