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서울-경기 유아대상 영어학원 실태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서울-경기 유아대상 영어학원 실태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과 경기 지역 유아 대상 영어학원, 이른바 '영어유치원'의 월평균 학원비가 135만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과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교육걱정)은 10일 국회에서 서울 및 경기도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반일제 이상 유아 대상 영어학원 실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서울 지역 영어유치원의 월평균 학원비는 2024년 기준 135만 6,365원으로, 2023년 131만 11원보다 4만 6,354원(3.5%) 상승했다. 해당 비용에는 교습비 외에도 모의고사비, 재료비, 급식비, 기숙사비, 차량비 등 매달 지출되는 부대 비용이 포함됐다.

서울 내 교육지원청별로는 중부 지역(종로, 중구, 용산)이 평균 137만 7,674원으로 가장 높았고, 동작·관악(137만 7,357원), 성북·강북(137만 4,749원)이 뒤를 이었다. 반면 노원·도봉 지역은 119만 9,187원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특히 성북·강북 지역은 전년 대비 13.4% 상승하며 가장 큰 폭의 인상률을 기록했다.

경기도 고양, 안양, 성남, 용인, 화성 등 5개 지역의 월평균 학원비는 122만 6,711원으로, 전년(111만 4,209원) 대비 10.1%(12만 2,389원) 상승했다. 사교육걱정은 이에 대해 "아이 1명당 연간 1,476만 원에서 1,632만 원 이상의 비용이 드는 상황"이라며 "방과후 프로그램 등 추가 비용이 제외된 수치이므로, 실제 가계 부담은 훨씬 더 클 수 있다"고 밝혔다.

운영 현황을 보면 서울에는 총 299개 학원에 623개 반이 개설돼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4개, 10개 줄어든 수치다. 반면 경기도는 학원 수가 3개 감소했지만, 개설된 반 수는 101개 늘어나 총 376개에 달했다. 서울에서는 강남·서초 지역이 181개로 가장 많았고, 강동·송파 139개, 강서·양천 56개 순이었다. 경기도에서는 안양 평촌 116개, 화성 동탄 93개, 성남 분당 79개, 용인 수지 59개로 집계됐다.

서울의 3\~5세 영유아 수는 2023년 6만 2,880명에서 2024년 6만 1,128명으로 2.8% 감소했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 영유아 기관도 241개 줄었으나 영어학원 반 수는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교습시간은 서울이 5시간 24분, 경기도가 5시간 8분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전년 대비 5분 줄었으나, 경기도는 오히려 12분 늘었다. 사교육걱정은 "해당 교습시간은 초등학교 1~2학년의 평균 수업 시간(3시간 20분)보다 2시간 이상 길며, 중학교 1학년 수준(4시간 57분)과 비슷하거나 더 길다"며 "장시간 주입식 학습은 아동의 뇌 발달 균형을 해치고, 집중력 저하와 건강 문제, 사회성 저해 등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사교육걱정은 ▲조기 사교육 시장의 과열 및 불평등 심화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과도한 교습시간과 학원비에 대한 제도적 규제 및 감독 강화 ▲모든 아동이 격차 없이 성장할 수 있도록 공교육 체계와 인프라의 강화 등을 요구했다. 또한 "이 같은 상황을 방치할 경우, 가계의 과도한 교육비 지출은 물론이고 출산 기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해 초저출생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며 정부와 교육 당국의 신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영어유치원 #영어학원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