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신대학교(총장 강성영)는 12일 오전 10시 경기캠퍼스 샬롬채플 대예배실에서 개교 85주년을 맞아 기념 예식을 열고,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 행사도 함께 진행했다.
기념 예식은 김희선 교목실장 직무대행의 인도로 시작됐으며, 전석철 사무처장의 기도, 이점건 교수연구팀장의 성경봉독, 박상규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장의 말씀 선포, 최창원 교무혁신처장의 연혁 보고로 이어졌다. 이어 허상수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비상임위원의 ‘신학과 2년간 강제 모집 중지 진실규명 보고’와 강성영 총장의 기념사, 교직원 시상, 윤찬우 한신학원 이사장의 격려사,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의 축사 순으로 예식이 진행됐다.

‘하나님의 충만하신 것으로’라는 주제로 말씀을 전한 박상규 총회장은 “한신대 개교 85주년은 사랑을 배우고, 익히고, 전하고, 나눈 시간이고 역사고 전통이다. 이제 우리 국민들은 촛불 혁명을 위해서 빛의 혁명을 이루어 가고 있다”며 “빛은 어둠을 밝히는 밝음도 있지만 생명을 살리는 따뜻함도 있다. 이제 따뜻한 민주주의, 밝은 대한민국,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야 한다”고 전했다.

허상수 위원은 보고를 통해 “1980년 신군부가 5·18 진상 규명을 요구한 한신대 학생 146명을 연행하고 8명을 구속하는 등, 1981~1982년 신학과 신입생 모집을 강제 중지시킨 사실이 지난 1월 진실화해위원회를 통해 확인됐다”며 “헌법이 보장한 학문의 자유와 교육받을 권리, 교육의 자주성과 대학의 자율성 등 중대한 인권을 침해한 것이고, 공식적인 사과와 한신대와 학생들이 당한 피해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고 했다.
아울러 “지난 45년간 진실을 밝히기 위해 인내해 온 강성영 총장과 피해 신청을 해준 동문들에게 깊은 존경과 위로를 전한다”며 “필요하다면 한신대는 이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기념비를 세우고, 미래 세대에게 교육하고 전승하길 바란다. 한신대가 앞으로 100년, 200년 평화를 지키기 위한 지도자를 길러내고 키우는 진리와 정의의 요람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개교 85주년 기념사를 전한 강성영 총장은 “오늘 우리는 ‘광주 너머’를 주제로 한신대 개교 85주년과 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행사를 연다. 단순히 행사를 같이 진행하게 아니라 ‘광주와 함께 그리고 광주를 넘어’ 한신과 기장의 정신을 다시 새롭게 자각하자는 취지다”며 “1980년 신군부의 탄압 속에서도 한신대 전교생은 류동운 열사 추모식을 열고, 대학가 최초의 반정부 시위를 벌였고, 그 결과 81, 82학번 신학과 모집 중지라는 대학 역사상 초유의 탄압을 받았다. 긴 세월이 흘러 지난 1월 3년에 걸친 조사 끝에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진실 규명이 됐다. 광주의 마지막 수배자로 불리며 5.18민주화운동의 혼을 이어갔던 합수 윤한봉선생의 기념 조형물이 한신 교정 ‘붉은 광장’에 자리하게 된 것도 큰 의미이다. 특별히 양산동 세대들에게 시위의 성지와 같은 오월계단을 다시 수축하는 ‘다시, 봄’의 첫 삽을 뜨려고 한다”고 했다.
더불어 “5월과 관련된 이러한 일들을 하는 것은 개교 85주년을 맞아 한신대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한신 100년을 향한 새로운 출발을 하기 위해서”라며 “대학이 직면한 현실의 도전들 앞에서 단지 생존이 목적이 아니라 ‘왜 대학이 존재해야 하는지?’하는 물음에 답을 찾아야 한다. ‘한신다움’, ‘한신성’은 우리 대학의 존재 이유이자 정체성이다. 이것은 한신이 왜 존재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유니크(Unique)한 가치이다. 이 웅장한 포부로 한신의 미래를 설계해, 다시, ‘한신다움’으로 구성원의 의지와 힘을 모아 100년을 향한 출발을 하겠다”고 전했다.

축사를 전한 김준혁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시정)은 “한신의 가족으로서 자부심을 느낀다. 특히 5·18을 기억하는 정신이 자랑스럽다”며 “광장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며 치열하게 일할 수 있었던 것은 한신이 가르쳐 준 소중한 교훈 덕분”이라고 했다. 이어 “한신의 발전을 위해 국회 안팎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서 교직원 근속상과 모범상, 부서표창이 진행됐다. 근속 30년 교직원으로는 류기수 교수, 양성모, 임병철, 전석철 직원이, 20년 근속자는 김도희, 오현숙, 이영미 교수와 나현숙, 유두영, 유용우 직원 등이 포함됐다. 모범상은 시설자산팀 전세정 선생, 부서표창은 AI·SW대학 강민구 학장과 IPP센터 김민정 팀장이 수상했다.


2부 행사로는 ‘합수윤한봉기념비’ 제막식이 열렸으며, 이 자리에는 강성영 총장, 김은경 전 윤한봉기념사업회 이사장, 임낙평 들불열사기념사업회 이사장, 윤난실 전 상임이사 등이 참석했다. 제막식 후에는 무용가 이아영의 문화공연도 펼쳐졌다.


‘다시, 봄’ 오월계단 재조성 선포식에서는 전석철 사무처장의 경과 보고에 이어 사회학과 최지우 학생이 “광주를 지킨 시민들의 정신을 기억하겠다”며 대표 발언을 전했다. 이후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이훈삼 총무, 전상건 증경총회장의 축사와 ‘새 벽돌쌓기 퍼포먼스’로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최정기 전남대 명예교수(5·18국제연구원장)의 ‘5·18이 남긴 것들: 권위주의 체제 너머 미래의 희망 찾기’라는 주제 강연이 진행되며 행사는 마무리됐다.
한편, 1940년 서울에서 조선신학원으로 출발한 한신대는 1980년 오산으로 이전해 종합대학으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평화·통일·융복합 교육 선도대학을 비전으로 삼고, 다양한 교육혁신 사업과 국책 사업에서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다음은 올해 교직원 근속상 명단.
[근속 30년]
∙교원: 류기수(중국어문화콘텐츠학)
∙직원: 양성모(생활관(경기)), 임병철(산학협력사업팀), 전석철(사무처)
[근속 20년]
∙교원: 김도희(동아시아통상학), 오현숙(심리·아동학), 이영미(신학)
∙직원: 나현숙(사무행정팀), 유두영(전국대학노동조합 한신대학교 지부), 유용우(사무행정팀)
[근속 10년]
∙교원: 공주형(평화교양대학), 이익주(평화교양대학), Matthew Boulton(평화교양대학)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