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가운데, 미국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5개국과의 우선 무역 협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한국과의 협상은 이르면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한국, 일본, 인도, 호주, 영국 등 5개국을 최우선 협상국으로 정하고, 해당 국가들과 이미 접촉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일본 측에선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담당상이 16일부터 미국을 방문해 베선트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만날 예정이라고 전해졌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 직후부터 빠르게 협상 채널을 가동하며, 행정부 내에서 핵심 협상 조율자로 부상하고 있다. 그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일본과는 이번 주, 한국과는 내주부터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며 "협상이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가장 먼저 합의에 도달한 국가가 가장 유리한 조건을 얻게 될 것"이라며 조속한 협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의 케빈 해싯 위원장도 이날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10곳이 넘는 국가에서 매우 좋고 놀라운 제안을 받았다"며 "이들 제안이 충분히 좋은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혀, 여러 국가와의 협상이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한국과의 협상은 단순한 통상 문제에 그치지 않고, 방위비 분담 등 안보 사안이 연계된 '패키지 딜'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안보 문제를 관세 협상의 일부로 다룰 수 있다"고 언급한 만큼, 협상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상호관세 유예 기간인 90일 안에 구체적 합의에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상호관세 철회 또는 완화를 우선 목표로 삼고, 전략적 협상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