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한 제적 시한에 맞춰 다수의 의대생들이 복귀를 선언했지만, 정작 강의실 현장은 여전히 썰렁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복귀한 학생들이 수업에 직접 참여하기보다는 온라인 수업을 선택하면서, 캠퍼스는 조용한 모습이다.

1일 취재에 따르면,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건물은 개강 이후에도 학생들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약 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강의실에는 단 3~4명 정도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고, 불이 켜진 실습실마저 비어 있었다. 복도 역시 정적이 흐르며, 학생들의 왕래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이화여대 의대생 전원이 이미 등록과 복학을 마친 사실과는 대조되는 장면이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도 상황은 비슷했다. 복귀를 결정한 학생들이 대다수였음에도, 강의실과 열람실은 대부분 비어 있었다. 약 130석 규모의 열람실에는 학생 한 명만이 남아 있었고, 캠퍼스 곳곳은 한산한 분위기를 보였다.

이 같은 현상은 대학들이 복귀 학생들의 신변을 보호하고자 온라인 수업을 적극 제공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복귀 이후 일부 학생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복귀자를 향한 비난과 압박성 글을 게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몇 년 쉬는 게 대수냐", "투쟁은 복귀와 공존할 수 없다"는 식의 주장들이 복귀 학생들을 압박하고 있다.

대학들은 이 같은 분위기를 고려해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거나, 온라인 강의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이 실질적인 수업 참여 없이 등록만 하고 휴학하거나 수업을 거부하는 형태로 투쟁을 이어가려는 정황도 감지되고 있다. 형식적으로 복귀 요건을 충족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복귀하지 않은 셈이다.

이에 대해 복귀를 결심한 일부 의대생들은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서울 지역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A씨는 학내 커뮤니티를 통해 "조리돌림과 블랙리스트 외에는 투쟁의 동력이 없다. 왜 투쟁하는지 모르는 학생들이 더 많다"며 "이런 방식은 오래 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대학 소속의 B씨도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하고 신중한 선택"이라며 "결국 누구도 내 인생을 대신 책임져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실질적인 수업 참여가 있어야 복귀로 인정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전날 브리핑에서 교육부는 "복귀는 단순히 등록 여부로 판단하지 않는다"며 "수업 참여가 수반되어야 하며, 모든 이해관계자가 수긍할 수준의 복귀가 이뤄진다면 정부도 약속을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대생 #의대생복귀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