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채 총장
서병채 총장
팀 사역에 대해 나는 두 가지가 생각난다. 하나는 팀으로 모였을 때 도움이 되느냐, 아니면 오히려 손해가 나는가 하는 것이다.

일단 팀에 대한 얘기를 하면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혼자서는 못한다", "장기적으로 가려면 팀이 구성되어야 한다" 등등의 얘기들이 보통이다.

미국 자원봉사 전문가인 머린 윌슨은 그의 책 "자원봉사자 동원하는 방법(How to mobilize Church volunteers, Marlene Wilson)"에서 팀으로 모일 때 나타나는 세 가지 현상을 얘기했다: 하나는 우리가 잘 아는 [Synergistic 상승 현상], 다른 두 개는 [공생이라는 symbiotic]과 [기생충을 뜻하는 Parasitic]이다.

즉, 시너지 1+1=4; 평범 1+1=2; 손해 1+1=-4가 된다는 얘기인데 의미 있다고 보며, 팀리더는 어쩔 수 없이 이런 현상을 생각 안 할 수가 없다.

또 한 사람은 팀의 '역기능(dysfunctions)'에 대한 전문가로 패트릭 렌시오니(Patrick Lencioni)이다. 그는 강조하기를 팀의 역기능을 조심해야 하고, 또 극복해야 한다면서 [신뢰>갈등>헌신>책임>결과] 5가지 순서를 제시하였는데 신뢰가 약할 경우, 갈등이 미해결 될 경우, 헌신이 미미할 경우, 책임감이 약해질 경우, 그리고 결과에 심각성을 갖지 않을 경우 등에서 역기능이 생길 수 있으니, 이 다섯 가지를 항상 염두에 두라는 것이다.

어쨌든 팀은 모인 이유가 있을 텐데 나 같은 경우는 사역하기 위해 초기에 팀을 구성했다. 위와 같은 체계적인 것을 생각 안 했지만, 두 가지를 항상 강조했다. 첫째는 팀원 간에 서로 서로 돌보고 개개인의 성장에 서로가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즉 돌봄과 성장이다. 둘째는 목표 달성이었다. 결과에 초점을 놓치지 말아야 된다는 것이다. 교제나 친교 차원에서 모인 경우는 이런 목표가 없을 수도 있겠으나 사역이나 특별한 목적으로 모인 그룹에서 목표 달성은 피할 수 없는 과제이다. 그래서 나는 항상 여기(돌보고 성장)와 저기(목표 달성) 두 가지를 이루기 위해 애써왔다.

그러면서 가족 개념("우리는 가족이다")과 의미와 보람 있는 사역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이 두 가지가 잘 공존할 때에 팀원은 현재에 만족과 행복을 느끼고, 미래에 대한 기대감으로 의미와 보람을 계속 느끼는 것이다.

첫 번째 것이 미미할 때는 따뜻한 분위기가 약해져 헌신도가 줄어든다. 반면에 목표 달성, 즉 결과 추구가 약할 때는 개인적인 부담(holy burden)이 없어서 자신들의 성장이 안 되니, 불만이 생기면서 떠날 준비를 하게 된다. 짐이 지워지고 부담을 느끼는 것은 불편한 것이지만 그렇지 않고는 개인적인 영적 성장이 안 되고, 사역에서 성취감을 못 느끼니 조만간에 떠날 준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서병채 목사(케냐 멜빈대학교 총장)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병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