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현지 시간) 미 에너지부 감사관실(OIG)이 지난해 상반기 의회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수출통제 대상인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갖고 한국으로 가려던 에너지부 산하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 직원이 해고됐다. 미국 에너지부가 최근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을 두고 우리정부는 외교정책과 무관한 보안 문제 때문이라고 해명했는데, 이 사건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사진=에너지부 감사관실 의회 제출 보고서 캡쳐
    미국, 한국 ‘민감국가’ 지정 발효… 정부 “외교적 해법 모색 중”
    정부는 15일부터 발효된 미국 에너지부의 한국에 대한 '민감국가(Sensitive Countries List, SCL)' 지정 조치와 관련해, 조속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 측과의 실무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에너지부는 지난 1월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를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 국가 목록에 등재했으며, 이 조치의 효력이 이날부터 공식적으로 적용됐다...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유예 속 한미 무역협상 본격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가운데, 미국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5개국과의 우선 무역 협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한국과의 협상은 이르면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 전 질의응답에 답하고 있다. ⓒ홍은혜 기자
    트럼프, 수입산 자동차·전자제품 관세 유예 가능성 시사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나입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에 앞서 진행된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관세 유예 검토 여부에 대한 질문에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다른 지역에서 부품을 이전하려는 자동차 업체들을 돕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울산 북구 염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전용 수출 부두 전경. ⓒ울산항만공사
    트럼프, 수입산 자동차·전자제품 관세 유예 가능성 시사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나입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에 앞서 진행된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관세 유예 검토 여부에 대한 질문에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다른 지역에서 부품을 이전하려는 자동차 업체들을 돕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지난 10일(현지 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괴한들에게 납치된 것으로 알려진 조쉬 설리번 목사. ⓒ펠로우쉽침례교회 페이스북
    남아공서 미국인 목사 납치… 몸값 노린 범행 가능성 수사 중
    남아프리카공화국 동부 지역에서 설교 중이던 미국인 목사가 괴한에게 납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현지 경찰은 전문 태스크포스를 투입해 수사를 벌이고 있으며, 몸값을 노린 범죄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사건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오후 7시쯤 동케이프 주 머더웰 마을 외곽의 한 교회에서 발생했다...
  •  10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한 정권수립 76주년 기념일(9·9절)을 맞아 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당.정 간부들을 만나 축하하고 연설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노동신문 캡처. ⓒ뉴시스
    김정은, 러시아 전승절 행사 참석 가능성… 북러중 삼각 연대 주목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수개월 내 러시아를 공식 방문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북러중 3국의 외교 전략과 정세 변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 러시아 대통령궁 소식을 인용해 김 위원장의 방러 계획이 외교 채널을 통해 조율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 트럼프
    트럼프 "전자기기 관세 면제 아냐… 다른 방식으로 부과할 것"
    전자기기에 대한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을 둘러싸고 혼선이 빚어진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부 품목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는 해석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해당 품목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 CT의 사설에 거세진 트럼프의 퇴진 요구, 2020년 복음주의자들의 투표 전망은?
    트럼프, 반도체 관세 방침 14일 발표 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와 관련해 오는 14일(현지시간)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겠다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월요일에 답하겠다"며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고 밝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트럼프
    트럼프 정부, IT 제품 상호 관세 면제 조치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 정부가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등 주요 IT 제품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1일(현지시간) 이러한 내용을 담은 '특정 물품의 상호 관세 제외 안내' 지침을 공지하며 면제 품목의 세부 사항을 발표했다...
  • 10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에 보복으로 맞서고 있는 대중 관세를 145%로 인상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정부, IT 제품 상호 관세 면제 조치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 정부가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등 주요 IT 제품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1일(현지시간) 이러한 내용을 담은 '특정 물품의 상호 관세 제외 안내' 지침을 공지하며 면제 품목의 세부 사항을 발표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고조되는 미중 관세 전쟁… 중국 "두렵지 않다"며 장기전 대비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전쟁이 다시금 격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총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중국 정부도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84%에서 125%로 인상하며 맞불을 놓았다. 중국은 이번 관세 인상을 끝으로 더 이상의 대응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장기전을 대비하며 전방위적인 외교전에 돌입한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