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 규모가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8월 중순 이후 유행은 국내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병상 확보 문제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는 것을 확인시켰다.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병상이 많은 수도권에서조차 일부 환자 대기 상황이 발생했던 만큼 전국 병상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적문가들은 민족 대이동이 있을 추석 연휴 뿐 아니라 코로나19 장기전에 대비하기 위해 신속한 병원 간 환자 이동(전원) 체계를 구축하고 동시에 감염병으로 다른 환자들이 치료 사각지대에 내몰리지 않도록 관리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5일 기준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는 125.8명으로 전주 181.4명보다 약 50여명 감소했다. 특히 13일부터는 이틀 연속 100명 아래로 신규 확진자가 나타나는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격리돼 치료를 받는 환자 수는 8월 중순 이후 환자가 급증하면서 9월3일 4786명까지 증가한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며 11일 3953명으로 3000명대로 내려오고 14일에는 0시 기준 3433명까지 감소했다.

위중·중증 환자 수도 11일 175명을 정점으로 12일 164명, 13~14일 157명으로 소폭이지만 감소 추세다.

그렇다고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전날 0시 기준으로 치료 중인 환자 10명 중 4명 수준인 1362명(39.7%)이 60대 이상 고령층이다. 치료 중인 60대 이상 환자 10명 중 1명(137명, 10%)은 위중·중증 상태다.

문제는 2주 앞으로 다가온 추석이다. 통상 추석에는 대도시보다는 고령의 부모나 친척을 찾아뵙기 위해 비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짙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누적 확진자 1000명 이상 대규모 유행이 발생한 지역은 광역시가 포함된 대구·경북, 의료자원이 비교적 여유가 있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이다.

지역 내 대형병원 등의 병상을 활용해 코로나19 확진자를 수용할 수 있는 수도권마저 이번 유행을 겪으며 진통을 겪었다. 경기도에선 생활치료센터나 의료기관에 입소·입원하지 못하고 가정에서 대기 중인 확진자 수가 지난달 29일 260명에 달하기도 했다.

하물며 추석 때 대규모 인구가 향하는 고향은 의료시설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소도시 등이 많다. 이들 지역에선 의료인력이나 장비에 앞서 당장 병상 확보부터가 시급하다.

위중환자는 인공호흡기, 인공심폐장치인 에크모(ECMO,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CRRT) 치료를 받는 환자이고 중증환자는 산소마스크 및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로 중환자실 치료 여부는 기저질환 등 임상 상태와 집중 치료 필요성에 따라 의료진이 정한다.

이에 실제 중환자실 치료를 받는 환자 수는 방역당국 통계보다 많다.

13일 기준 전국 중증환자 치료 병상 531개 중 남은 병상은 47개다. 이미 484개 병상에서 환자들이 중증환자로 판단돼 치료를 받고 있다. 여기에 의료진과 장비를 갖춰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병상은 42개로 줄어든다.

광주와 대전, 전북, 경북에는 더 이상 가용할 중증환자 치료병상이 없다. 강원과 충남, 전남에는 1개씩 남아 있다. 전체 확보 병상이 187개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서울에 가장 많은 가용 병상이 남았는데 7개다.

김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교수에 따르면 인구 1000명 당 3차병원 병상은 서울이 2.1개인데 반해 춘천과 안동은 3차병상이 아예 없다. 추석 연휴 인구 이동으로 춘천과 안동 지역에서 대규모 집단감염이 발생한다면 당장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린다.

8월 중순 이후 유행이 발생한 수도권에선 대형병원 중환자 병상을 급히 끌어다 쓰고 생활치료센터를 구해 병상 부족 사태를 겨우 막아내고 있지만 이런 조치가 의료 격차가 있는 국내 소도시 등에서도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방역망 통제 범위를 벗어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역학조사에 과부하가 걸려 지역 내 조용한 전파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감염이 됐더라도 무증상 등으로 감염 사실을 인지하지 못해 진단검사를 늦게 받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미 질병의 경과가 진행된 상태에서 뒤늦게 검사를 받게 되면 양성 후 곧바로 사망하는 사례도 있어 상시 입원 가능한 병상 확보가 시급하다.

김윤 교수는 "대구나 경북이 따로가 아니고 1개 권역으로 묶어 대응하는 체계가 만들어져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8월 중순 유행이 발생하면서 병상은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다. 수도권 유행이 본격화되기 전이었던 8월13일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은 2106개, 중증환자 치료병상은 528개였는데 한달 후인 9월13일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은 4138개, 중증환자 치료병상은 531개로 늘었다.

관건은 이렇게 확보된 병상을 얼마나 원활하게 병원과 병원, 지역과 지역 사이에 연계할 수 있느냐다.

김윤 교수는 "코로나19는 재난이니까 비응급환자의 진료를 미루는 방식으로 병상을 확보해 공유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며 "코로나19 환자가 365일 대형병원을 채우고 있는 건 아니고, 대게 1~2개월 사이 증감이 반복돼 이 기간은 응급환자가 아니면 진료를 미뤄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암 환자도 중증이지만 항암 스케줄을 한 달 정도 미룬다고 해서 큰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니다"며 "확진자가 갑자기 늘어나면 병원별로 어느 정도의 환자를 받아야 할지 빠르게 추산을 하고, 그 숫자만큼 비응급환자의 진료를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시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병상 #코로나 #추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