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통계청
문재인 대통령 취임 당시, 제 1공약의 제목은 '일자리를 책임지는 대한민국'이었다. 그러나 3년이 흐른 지금, 40대 고용률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데 이어, 청년 실업률마저 사상 최악의 수치를 기록했다.

졸업·중퇴자 35% 일자리 못 구해... 40대 고용률도 역대 최저

학교를 졸업했는데 취업을 하지 않거나 못한 청년층(15∼29세)이 올해 170만 명에 육박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0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최종학교 졸업(중퇴)자 중 미취업자는 한 해 전보다 12만 명 늘어난 166만 명이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졸업·중퇴자 478만7천 명 가운데 35%는 직장을 구하지 못하고 여전히 취업 준비를 하고 있거나 집에서 쉬고 있는 셈이다.

미취업 기간을 보면 1년 미만이 57.5%로 한 해 전보다 1.6%포인트 늘었다. 1년 이상 2년 미만은 1.3%포인트 줄어든 16.9%, 2년 이상 3년 미만은 0.3%포인트 하락한 8.8%였다.

3년이 넘는 시간 동안 미취업 상태인 이들의 비율은 16.8%로 한 해 전보다 0.1%포인트 줄었다.

미취업자 가운데 직업교육, 취업시험 준비(38.0%)를 한 이들의 비율은 한 해 전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반대로 그냥 시간 보냄(23.9%)은 2.3%포인트 올랐다. 이밖에 여가활동 등은 14.4%, 구직활동은 14.2%, 육아·가사는 9.5%로 나타났다.

청년층 가운데 공무원 시험이나 일반기업 공채를 준비하는 등 취업시험을 준비하는 이들은 한 해 전보다 9만 명 늘어난 80만4천 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 규모다.

취업시험 준비 분야는 일반직 공무원(28.3%)이 가장 많았고 일반기업체(24.7%), 기능 분야 자격증 및 기타(20.6%), 언론사·공영기업체(13.9%), 고시 및 전문직(8.1%), 교원임용(4.3%) 순이었다.

최종학교 졸업(중퇴)자 중 취업자는 312만7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만8천 명 감소했다.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1.0%), 도소매·음식·숙박업(25.2%), 제조업(16.1%)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건설업(4.6%), 농림어업(1.2%) 분야로 가는 청년들은 적었다.

한편,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는 40대의 고용률도 21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40대 고용률은 76.9%로 외환위기 여파가 이어진 1999년 6월(75.4%)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2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40대는 코로나19가 경제에 충격을 주기 이전부터 일터에서 밀려나고 있었다. 이들의 고용률은 6월 기준으로 2017년 79.8%에서 2018년(79.2%), 2019년(78.5%), 올해(76.9%)까지 추세적으로 하락했다.

일 구해도 67%는 첫 직장 그만둬

청년들이 졸업 후 평균 10개월 만에 첫 직장을 구하고, 10명 중 7명은 첫 직장을 1년 2개월 정도 다닌 뒤 그만둔다는 통계 결과도 나왔다.

졸업(중퇴) 후 임금근로자로 첫 일자리를 구한 청년 396만3천 명을 조사한 결과, 첫 취업까지 걸리는 평균 소요 기간은 10.0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이하는 평균 14.8개월, 대졸 이상은 평균 7.2개월이었다.

첫 직장 임금 수준은 150만∼200만 원 미만이 35.0%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0만∼150만 원 미만(23.7%), 200만∼300만 원 미만(20.5%) 50만∼100만 원 미만(12.2%) 순이었다.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0.3%), 도소매·음식숙박업(30.5%), 광업·제조업(15.2%) 순으로 첫 직장 비율이 높았다.

첫 직장을 그만둔 청년 임금근로자는 69.6%였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경우 평균 근속기간은 13.8개월이었다.

첫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보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47.7%)이 가장 많았고 '건강, 육아, 결혼 등 개인·가족적 이유'(14.3%), '임시적, 계절적 일의 완료, 계약기간 끝남'(12.4%)이 뒤를 이었다.

첫 직장이 현재 직장인 경우는 30.4%였다. 평균 근속기간은 26.1개월이었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경우와 계속 다니고 있는 경우를 합쳐 계산하면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17.5개월이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