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을 경험하고 소통하는 삶이 진정한 예배이며 찬양이라고 생각한 경건주의자들은 당시 많은 교회에 영향을 주었으며, 성령 체험을 바탕으로 한 은사주의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 이 영향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이 요한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였다. 그는 영국 출신으로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한 후, 복음적 회심을 경험했으며, 유럽에서 모라비안 교도들을 만나 성령 운동을 체험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1738년 5월 24일 저녁 8시 45분, 마음이 별로 내키지 않았으나, 올더스게이트(Oldersgate) 거리에 있는 한 모라비안 교도의 교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예배를 인도하는 사람이 루터의 ‘로마서 서문’을 읽고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 마음에 역사하심으로써 일어나는 변화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 이상하게 뜨거워지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웨슬리는 성령님을 인격적으로 체험하게 되었으며, 비로소 완전한 구원의 체험을 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요한 웨슬리를 중심으로 한 은사주의적 복음주의(Charismatic Evangelical) 운동은 개인적 복음과 사회적 복음의 입장을 지닌 감리교회로 발전했으며, 당시 국가 교회인 영국 국교회가 성공회로 전환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교회가 교리로만 안주하는 것이 아닌 복음주의적 생명력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후 웨슬리의 사역과 저술은 감리교의 활동만이 아니라 19세기 성결 운동과 20세기 오순절 운동 및 기독교 사회복지 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찬양을 즐겨 부르고 대중 집회 때마다 자주 사용했던 그는 매우 어렵던 교리와 사상을 쉬우면서도 전인적으로 배우고 경험하는데 찬양을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찬양은 집회의 강력한 통로가 되었으며, 참석한 많은 사람들은 은혜가 넘치는 성령의 능력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후 개인의 신앙적 고백과 체험, 신앙생활들을 시로 표현하기도 했으며, 성경적인 기독교 신앙과 교리를 표현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한편 웨슬리는 찬양을 통해 회중이 은혜를 경험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으로 경험하게 된 결과이지, 그 자체가 주된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같은 웨슬리의 찬양에 대한 깊은 관심은 예배자들이 찬양이 하나님을 경험하는 중요한 통로로 인식되었으며 예배에서 찬양이 점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성결교와 오순절 교회의 성령운동에 찬양의 역할이 더 강조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찬양이 예배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아 갈 수 있었다.

하나님을 예배에서 경험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촉발된 ‘경건주의’는 대륙을 넘어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제 2차 대각성 운동(The Second Great Awakening Movement)’은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유럽을 휩쓴 경건주의가 18세기 초 미국으로 건너가 극적인 영향을 일으킨 대표적 신앙 부흥운동이다. 이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 조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 1714-1770)로 그는 영국의 신학자이자 설교자로 18세기 영국 존 웨슬리와 감리교운동을 시작했으며, 개혁주의적 감리교 신학을 주장해 그 기틀을 다졌다.

‘제 2차 대각성 운동’은 당시 영국 식민지였던 뉴잉글랜드의 메마른 합리주의와 중부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예배 의식에 집착한 형식주의, 그리고 남부의 목회감독 소홀 등에 반대하고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계약을 새롭게 하고자 일어났다. 초교파적인 이 운동은 회개의 외적 증거와 내적인 은총 체험을 강조했으며 성경연구와 전도에 주력했다.

헨리 메이(Henry Farnham May, 1915-2012)는 그의 책 “The Enlightenment in America(미국의 계몽주의)”에서 ‘제 2차 대각성 운동’이 갖는 세 가지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는 칼빈주의의 교리적 중심에서 체험을 강조하는 면이 부각되면서, 중생의 체험을 강조하다 보니 교리적 가르침, 즉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외우고 공부하는 것보다, 감정위주의 체험신앙이 등장하게 되었다. 둘째는 에드워즈의 후천년설이 등장하면서, 이 신세계에서의 그들의 새로운 역할이 강조되었다. 즉, 재림을 기다리는 신앙보다, 이 땅에서의 삶을 보다 강조하는 설교가 등장하게 되었다. 셋째는 경건주의자와 이성주의자라는 양 극단의 대립이 날카로와졌다.” May, Henry F, (1976). “The Enlightenment in Americ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국에서 일어난 ‘제 2차 대각성 운동’은 유럽에서의 경건주의 운동과 함께 수동적 신앙생활과 교리중심의 예배로부터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한 실제적인 삶을 중시하는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1740년대 후반에는 미국 남부 지역까지 확대되었으나, 너무 감정적으로 흘러 장로교회와 회중교회 사이에 신학적 해석을 달리하게 되었고, 성공회와 영국 복음주의 교회들로부터 교회를 분열시킨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쇠퇴했다.

이 부흥운동을 이끈 주요 인물로는 교파를 초월해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와 찰스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 1792–1875)를 비롯해 길버트 테넌트(Gilbert Tennent, 1703-1764), 사무엘 데이비스(Samuel Davies, 1723- 1761) 등이 있다.

시무어
아주사 부흥운동 창시자 시무어와 110주년 기념 12만명 집회

예배 속에서 하나님을 체험하고자 하는 열망은 ‘제 2차 대각성 운동’ 이후 ‘아주사 부흥운동’으로 연결되었다. ‘아주사 부흥운동(Azusa Rivival)’은 1906년부터 1931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아주사(Azusa) 거리에서 일어난 20세기 오순절 부흥운동이다. 이 운동을 시작한 윌리엄 시무어(William J. Seymour, 1870–1922)는 자유 노예의 아들 출신으로 방언 사역을 주창하는 오순절 설교자 찰스 파햄((Charles F. Parham, 1873-1929)의 제자였으며 작은 성결교회 목사였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이 임박 했으며, 늦은 비 성령이 곧 임할 것으로 주장했다.

텍사스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온 시무어는 아주사 거리의 모퉁이 창고에서 성령을 사모하는 집회를 갖기 시작했다. 1906년 4월 9일부터 12일까지 금식으로 진행된 집회에서 그는 사도행전 2장 4절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를 본문으로 설교를 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모여들기 시작했다. 방언을 사용해 기도하기도 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동참하며 밤을 새면서 기도가 계속되었다. 피상적이 아닌 체험적 신앙과 성령의 은사를 갈급해하는 사람들과 영적으로 굶주린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집회는 영적 운동이 되어갔다.

아주사
아주사 부흥운동의 요람

아주사 거리(312 Azusa Street)의 예배는 거의 24시간 내내 진행되었으며 자발적이었다. 그 부흥회에 참석한 사람들 중에는 성결교뿐만 아니라 침례교, 메노나이트, 퀘이커, 장로교도들도 있었다. 또한 집회에는 어떤 악기도 사용되지 않았으며, 서서 또는 앉아서, 하늘을 보면서 찬양을 불렀다. 그리고 특별한 지도자들이 없었지만 집회는 뜨거웠으며, 성령 체험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갔다. 일부 매체와 백인중심의 교단에서는 이러한 방언과 예언에 대해 이단성을 말하기도 했지만 그들의 열정과 사모함은 오히려 타올랐다.

이곳에서 성령의 은혜를 받은 사람들이 전도와 선교를 위해 흩어졌으며, 선교사로 또는 전도자로 헌신되었다. 약 50개국이 넘는 나라로 복음을 전하기 위한 선교사들이 넘쳐났으며, 현대 오순절운동과 오순절교단(기독교 하나님의 성회)의 시초가 되었다.

평양 대부흥
평양 대부흥 운동

많은 교회 지도자들과 신학자들은 ‘아주사 부흥운동은 이 시기에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 영국의 ‘웨일스 부흥운동(1904년)’, 1907년 평양 장대현에서 일어난 ‘평양 대부흥’과 성령부흥운동의 관점에서 서로 관련이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영적 침체에 빠져 있던 18세기 영국은 웨슬리와 같은 위대한 인물로 말미암아 새로운 부흥기를 맞게 되었으나 세월이 흐르자 다시 침체기에 빠져 들었다. 20세기 초에 영국을 부흥시킨 강력한 성령운동이 웨일스 지방에서 일어났는데, 그것이 바로 1904년의 ‘웨일스 부흥운동(The Welsh Revival)’이다. 광부의 아들로 태어나 13살 때부터 탄광 일을 돕던 이반 로버츠(Evan Roberts,1878-1951)는 1904년 “Lord, bend us(주님 우리를 굴복 시켜주소서)”란 설교를 듣고 성령 체험을 했다. 그는 로마서 5장 8절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는 말씀을 통해 성령과 부흥을 강렬히 갈망하게 되었으며, 그 후 5년 만에 웨일스 지방 이곳저곳에서 10만 명이 참석하게 되면서 영국 오순절운동과 부흥운동, 그리고 20세기 세계 부흥운동에 불을 붙이게 되었다.

평양 대부흥 운동
평양 대부흥 운동

아주사 부흥운동과 마찬가지로 ‘웨일스 부흥운동’의 특징 중의 하나는 감동적인 찬양이었다. 사람들은 누구나 전문가들 못지않게 은혜롭게 찬양을 잘 불렀다. 찬양을 부를 때 놀라운 성령의 충만한 감동을 받았다. 찬양대도, 지휘자도, 오르간 반주도 없었는데도 자발적인 기름 부음이 강한 영혼의 찬양이었다.

아주사 부흥운동과 웨일스 부흥운동은 형식적인 관념적 예배를 거부한 하나님을 경험하고자하는 갈급한 심령들이 성령의 은혜 속에 일어난 성령운동이자 은사주의 운동이라 말할 수 있다. 예배와 찬양 면에서도, 이 운동들은 ‘빈야드 운동’에 영향을 주며, ‘찬양과 경배 운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복음송’ 또는 ‘복음성가’라고 불리는 찬양은 대략 19세기 미국에서 시작되어 20세기에 걸쳐 약 100여 년 동안 영향을 주며 발전되어 왔다. 이 시기를 ‘전기 가스펠’ 시대라고 부른다. ‘복음송’은 당시 예배에서 주로 부르는 찬송가(Hymns)와 대비되는 의미로서 사용되었는데, 1874년 미국의 부흥사 다니엘 휘틀(Daniel. W. Whittle, 1840-1901)과 함께 찬양 인도자로 활동하던 필립 블리스(Philip. P. Bliss, 1838-1876)의 노래 모음집 ‘가스펠 송(Gospel Song)’에서 처음 유래되었다. ‘가스펠(Gospel)’이란 앵글로색슨어로 ‘하나님(God)’과 ‘말씀(Spell)’의 합성어다. 즉 “하나님의 말씀에 음정과 리듬을 맞추어 부르는 것”이 ‘복음송(Gospel)’이며, 헬라어로는 ‘유앙겔리온(εὐαγγέλιόν, Good News)’ 곧 ‘복음(기쁜 소식)’이다.

종교 개혁 이후 200여년이 지난 18세기에 이르러서 말씀 중심의 이성적이고 수동적인 예배에 대해 부정적인 기류가 나타났다. 루터의 성경 번역 이후 회중들이 성경 말씀을 쉽게 접하게 되면서 예배에서 그동안의 말씀에 대한 갈증들이 많이 회복되었지만, 한편으로는 하나님과의 소통과 고백, 마음의 감동 등을 예배 속에서 느끼고자 하는 의지와 기류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18세기에 유행하기 시작한 이성의 원리를 중요하게 강조하는 ‘계몽주의(Enlightenment)’도 머리로만 하나님을 이해하는 우리의 마음을 일깨워 하나님을 만나고 경험하고자 하는 욕구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이와 같은 흐름은 성령 운동을 촉발시키는 시작점이 되었는데, 복음전도 집회는 성령 운동에 기름을 붓게 만들었으며 찬양은 가장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요한 웨슬리를 비롯한 은사주의를 지향하는 지도자들은 집회에서 찬양을 중요시하여 곡을 많이 만들었으며, 찬양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20세기 후반에 일어난 은사주의 운동인 ‘빈야드 운동(Vineyard Movement)’에도 영향을 주었다.

가진수
가진수 교수 ©기독일보 디비

종교개혁을 통해 지난 1000여년의 가톨릭 미사의 사제 중심 음악에서 회중들의 찬양으로 큰 변혁을 이루었으며, 신학적 논쟁의 소용돌이에서 ‘경건주의’ 운동이 태동되었다. 그리고 ‘경건주의’ 운동은 성령 운동과 맞물리게 되면서 감리교와 성결교, 오순절 계통의 종파들을 새롭게 떠오르게 했으며, ‘제 2차 대각성운동’과 ‘아주사 부흥운동’, ‘웨일스 부흥운동’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운동들은 종교개혁의 한 축인 칼빈주의나 개혁교회 등의 보수적 종파들과 대립하게 되었으며, 말씀 예배 중심의 교회들과 각을 세우면서 교회사적으로는 신학과 신앙적인 면에서 중요한 두개의 축이 되었다. 이런 면에서 최근 발전하고 있는 ‘찬양과 경배(Praise & Worship)’ 운동은 하나님을 경험하려는 강렬한 움직임, 즉 경건주의-성령운동-부흥집회-은사주의로 이어지는 뿌리에 조금 더 깊게 닿아있다고 할 수 있다.

가진수(월드미션대학교 예배학과 교수)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진수 #찬양과경배 #18세기부흥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