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성구 박사
    최고 지도자론(最高 指導者論)(3)
    지금 우리나라는 매우 급하게 돌아가고 있다. 그래서 급조된 지도자가 나올 수 있다. 앞서 말했던 조동진 박사의 글을 보면 대강 7가지 지도자상이 있다고 한다. 1) 독재적 지도자상 2)가부장적 지도자상 3)당파적 지도자상 4)방임(放任) 주의적 지도자상 5)전문가적 지도자상 6)관리적 지도자상 7)민주주의적 지도자상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 양기성 박사
    사중복음을 넘어 웨슬리의 사회복음으로(1)
    사중복음은 한국의 복음주의 계통 성결교단이 중심으로 삼는 전도표제다. 사중복음이란 중생(Regeneration), 성결(Sanctification), 신유(Divine Healing), 재림(Jesus’ Second Coming)으로서 1930~40년대 초창기부터 성결교회의 복음전도와 교세확장을 위해 강조하던 전도표제였고, 한국의 성결교회는 이것을 교단을 상징하는 신학적 기조처럼 여겨 지금까..
  • 조덕영 박사
    시인 주조아 목사의 ‘꽃비’
    주조아 시인(1955~ )은 전남 장성 生. 충북대 사범대 국어교육과를 나오고 충북대 신문사 편집장을 지냈다. 전직 중·고등학교 교사였으며 총신대를 나와 지금은 빛고을 광주의 첨단지구촌교회를 담임하고 있다. ​1997년 《크리스찬문학》 신인상 등단, 제4회 국민일보 신춘문예 입상, 국민일보 신춘문예회 회원이다. 저서로 『낙도선교』(1996년 공저)와 『이제 나의 이름은 지우도록 하겠습니다』,..
  • 강준민 목사
    기도 불패
    한국 집회에서 전한 첫 번째 말씀은 “기도 불패”였습니다. 저는 예수님을 만난 후에 새벽마다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기도 노트에 기도 제목을 기록하고 기도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평생 기도 제목, 5년 기도 제목, 한 해 동안 간구할 기도 제목을 기록하고 기도드렸습니다...
  • 신성욱 교수
    목사가 된다는 것은
    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KAICAM)가 최근 분당에 위치한 할렐루야교회에서 제51회 목사안수식을 개최했다. 여기에서 134명이 안수를 받고 목사의 길로 들어섰는데, 매년 두 차례씩 안수 위원으로 참석해왔다. 10여 명의 제자들도 함께 안수를 받았으며, 내게 직접 안수받은 제자는 두 사람이다...
  • 정성구 박사
    최고 지도자론(最高 指導者論)(2)
    한국교회 선교학의 대부는 조동진 박사이다. 그는 최고 지도자론을 집필하면서 월드비전 미국 회장을 지난 테드 엥그스트롬(Ted Engstrom)과 리차드 울(Richard Wool) 박사 그리고 아놀드 토인비(Arnold Toynbee)의 책들을 참고했었다. 그런데 필자는 여기에 덧붙여 네덜란드의 위대한 정치가이자 수상을 지난 아브라함 카이퍼(A. Kuyper)의 지도력을 함께 생각고자 한다...
  • 세인트하우스 평택 정재우 목사
    도시를 품은 공원
    그토록 기다렸던 봄날이 완연하다. 화사하게 피었다가 한순간 봄비에 낙화한 벚꽃은 졌지만 영산홍과 철쭉, 그리고 연초록으로 새싹들을 밀어내는 나무들에 둘러싸인 아파트 정원을 산책하며 봄날을 누리고 있다. 지난 주말에는 가족과 함께 배다리 생태공원을 다녀왔다. 평소에 필자는 배다리 도서관을 이용하느라 자주 들러서 익숙하지만 가족은 모처럼 산책에 함께 나섰다. 사방이 연초록 나무로 새 옷을 갈아입..
  • 최선 박사
    가정은 안식의 샘터
    가정은 소중하다. 인류가 시작되는 에덴동산부터 지금까지 가정은 계속해서 이어져왔다. 다양한 언어와 종족으로 인하여 지구촌에는 크고 작은 민족들이 존재한다. 우리나라도 가정의 소중함을 인식하여 특별히 가족을 위한 기념일을 많이 지정하였다. 그래서 5월은 가정의 달로 불려지고 있다...
  • 박종호 목사
    국가 위기 속, 한덕수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는 시대적 소명
    대한민국은 현재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위기의 절벽 앞에 서 있습니다. 국민의 삶은 불안정하고, 사회는 분열되어 있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은 점점 희미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절박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리더십을 필요로 합니다...
  • 조덕영 박사
    허성욱 시인의 ‘창조신앙 종말신앙’
    허성욱 시인은 경남 김해 生. 시조문학 1984년 겨울호에 "설화 초"로 등단한 후 <월포리 사설>, <멀미의 바다 위에 당신이 계십니다>, <생수를 찾아서>, <세월이 마주 웃는다> 등 4권의 시조집을 낸 시조시인이며, 부산문인협회와 부산크리스천문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부산대 사범대 물리학과를 나와 성지고 교사로 근무(2013년 정년 은퇴)했다...
  • 최선 박사
    [최선 박사 칼럼] 스승과 제자
    참스승이 그리운 시대이다. 사람들은 학창시절을 지나왔고 현재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육자도 있다. 모든 사람들은 배움의 길을 걷고 있거나 지나왔다. 그 가운데 많은 선생님들을 만났다.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에서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중고등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자 312명 가운데 선생님께 마음을 전할 계획을 세운 학생들은 절반도 안 된다는 통계가 나왔다. 이처럼 우리 사회에서 ..
  • 김창환 목사
    가정의 달 5월 교회 행사의 모든 것
    가정의 달은 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건강한 가정을 위해 사회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지정된 법정 기간이다. 매년 5월이다. 2005년 1월 1일 <건강가정기본법>이 제정되면서 매년 5월을 가정의 달로 정했다. 가정의 달을 준비하면서 교회에서는 어떻게 보내야 할 것인가를 알아보자...
  • 신성욱 교수
    한쪽 다리를 잃고 한 도시를 얻은 남자
    한 소년이 있었다. 그는 어릴 적부터 몸이 약했고, 친구들처럼 운동장에서 뛰놀지도 못했다. 대신 그는 책을 좋아했고, 조용히 하나님 앞에 무릎 꿇기를 좋아했다. 하루는 책장에서 우연히 한 권의 중국 선교 보고서를 꺼내 읽게 되었다. 낯설고도 먼 나라, 중국... 우상숭배와 영적 어둠에 둘러싸인 그 땅의 이야기에 그의 마음은 강하게 끌렸다...
  • 정성구 박사
    최고 지도자론(最高 指導者論)(1)
    대통령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이 일을 두고 일반 대중들은 싸늘하다. 그저 그런 사람들이 자칭타칭 후보자로 나서는 것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내놓으면서 아무도 찍을 자가 없다는 말들을 노골적으로 하고 있다. 윤 대통령의 탄핵과 반대가 쓰나미처럼 지나가더니, 불법 재판으로 탄핵되자, 대중들의 관심은 엉뚱하게 변질되었다. 정치는 생물이라던가? 민심은 아침저녁으로 변하고, 후보자들을 ..
  • 양기성 박사
    신학의 가치(The Value of Theology)
    고대, 즉 그리스나 로마시대의 학문은 주로 철학, 정치학, 법학, 논리학이나 수학 같은 것이었다. 학당이나 서당같은 작지만 체계를 갖추었다는 교육기관이 아니더라도, 즉 사적인 제자양성 과정에서도 학문은 주로 위에 언급한 그런 분야들을 중심으로 하여 가르쳐졌다. 그렇게 학문을 하는 이유, 또는 그 필요성은 몇몇 목적이 있다...
  • 최선 박사
    2027년 8천만 민족복음화대성회
    1885년 우리나라에 생명의 복음을 들고 선교사들이 공식적으로 들어와 학교와 교회 그리고 병원과 고아원 등의 다양한 기독교 선교를 위한 교육과 사회복지 사역들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조선은 일제강점기, 식민지의 설움으로 말미암아 고통을 안고 살아야만 했지만 한국교회는 성장하였다. 일본의 패망으로 해방을 맞았으나 그것도 잠시 민족 간 전쟁이 있었다. 그 아픔을 이겨낸 대한민국은 세계가 놀랄만한 ..
  • 강준민 목사
    지혜는 좋은 태도를 가꾸려는 마음에 싹틉니다
    나이가 든다는 것이 슬퍼할 일만은 아닙니다. 나이가 들면 지식과 경험이 쌓이기 때문입니다. 지식과 경험이 축적되면, 자연스레 지혜도 깊어집니다. 그래서 지혜서인 잠언은 이렇게 말합니다. “백발은 영화의 면류관이다.”(잠 16:31상). 우리는 지혜로운 어른들을 존경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 시대는 새로운 것을 숭상하는 시대입니다. 그래서 오래된 것과 낡은 것을 무시하는 모습을 자주 봅니다. ..
  • 세인트하우스 평택 정재우 목사
    드라마의 힘
    어린 소녀 애순은 해녀 어머니의 사랑으로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당차게 살아간다. 어미가 늘 들려주었던 말을 마음에 새겼다. “너는 달리 살아라” 어망은 애순이 작은 집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는 걸 참지 못했다. 조기 꾸러미를 집어던지며 앙칼스럽게 애순을 차별하지 말라고 대들던 어망을 어찌 잊을까. 요망한 애순이가. 물질하는 어망을 해변에서 지켜보며 들었던 어망의 물숨과 물비 소리. 물질해서 건..
  • 김창환 목사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바라보는 기독교인들의 입장
    오바마 정권 때부터 바이든 정권까지 동성결혼은 물론 성소수자를 지지하는 정책 까닭에 지난 12년 만에 성소수자들이 3배로 증가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2024년 자신을 성소수자(LGBT)라고 밝힌 미국인의 비율이 9.3%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한다...
  • 조덕영 박사
    김종삼 시인의 부활절(復活節)
    김종삼(金宗三, 1921~1984) 시인은 황해도 은율 출생. 평양에서 동아일보 지국을 운영하는 아버지와 기독교 집안의 외동딸인 어머니 사이의 4남 중 차남이었다. 김 시인은 은율의 외갓집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1934년 광성보통학교를 거쳐 숭실학교에 입학했으나 1937년 중퇴, 이듬해 토요시마상업학교에 편입학하여 졸업하고 1951년 시 <돌각담>을 발표한 후 오랫 동안 방송계에 종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