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문학관 착공식
노동문학관 착공식. (사진 = 노동문학관건립위원회 제공)

국내 최초로 만들어지는 노동문학관이 첫 삽을 뜨고 본격적인 건축 공사에 착수했다.

노동문학관건립위원회 위원장 정세훈 시인은 7일 "전날(6일) 오전 충남 홍성군 광천읍 월림리 162-2 현장에서 착공식을 가졌다. 오는 7월 20일 개관을 목표로 본격적인 건축 공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착공식에는 강원민예총 김흥우 이사장, 정의당 이선영 충남도의원, 더불어민주당 최선경 전 군의원, 이부균 홍성군 행정복지국장, 신주철 광천읍장, 가수 이지훈 등이 참석했다.

정세훈 위원장은 "일제 강점기 카프(KAPF·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와 전태일 열사 분신 이후의 노동문학 관련 소중한 자료들이 손실되고 있다. 이 자료들을 모아서 잘 보관해야겠다. 나아가 노동문학을 조명하고 노동문학이 향후 유구토록 우리 한국 사회의 올바른 길잡이가 되도록 노동문학관을 건립하고자 한다"고 설립 취지를 밝혔다.

정 위원장은 "현재 부지를 확정하기 전 장기적 계획을 염두에 뒀다. 향후 충남도 또는 홍성군과 협의해 노동문학관을 확장하고 그 중심으로 주변에 관련 '시비동산'과 '조각공원' 등 예술마을을 조성해 전국에서 보다 많은 관람객들이 찾아오는 명소로 조성할 방침"이라고 계획을 전했다.

노동문학관이 들어설 부지는 480㎡(약 145평) 크기다. 부지 마련과 건축에 필요한 비용은 한국작가회의, 한국민예총 등 민중예술단체와 관계자들의 후원으로 마련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상 못한 건축비용이 추가되어 한 때 기금 부족 상황을 맞기도 했다.

정 위원장은 "건축을 위해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줄여 건립자금을 마련했다. 그러나 건축비가 예상보다 많이 들어가 부족한 것을 채우기 위해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을 활용한 모금 등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문학은 노동자들의 삶과 현실에 초점을 둔 문학을 말한다. 항일시대 1920~1930년 대두됐다가 남북분단으로 주춤했다. 1970년대부터 다시 활발해졌는데 당시에는 민주화운동과 민중운동에 투신한 지식인들이 주로 활동했다.

노동운동가 전태일의 분신 이후 박영근·박노해·백무산·김해화·정세훈·안재성·서정홍 등 노동현장 출신 시인들이 노동자들의 피폐한 삶, 자본주의의 병폐 등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정 위원장은 "노동문학관련 세미나, 기획전시 등 다양한 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건립목적을 고취해 나갈 것"이라며 "매년 문학, 그림, 풍물, 춤, 사진, 노래 등 노동 관련 모든 예술 장르가 참여하는 전국노동예술제를 3박4일 정도 개최할 것"이라고 운영 계획을 전했다.

그는 "향후 세계노동예술제로 확대, 승화시켜 노동문학관을 국내는 물론 세계에도 알리는 것은 물론 노동문학의 세계적 메카로 만들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임종명 기자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