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바르트(Karl Barth , 1886-1968)   ©한국칼바르트학회

현대기독연구원이 올해 마지막 강좌로 개설한 '바르트의 신학입문' 강독 세미나가 이달 8~29일까지 매주 월요일 기독연구원 느헤미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기독일보는 '바르트의 신학입문' 강독 세미나 첫 강의를 4회에 걸쳐 연재한다.

[기독일보 오상아 기자] 칼 바르트가 1961~1962년 겨울 바젤 대학교에서 40년 간의 교수 생활에서 마지막으로 강의한 내용을 묶은 '개신교신학 입문'. 이 책의 강독 세미나 강사로 초청된 신준호 박사(인천제일교회 교육목사)는 지난 10월 새로운 번역과 장정으로 출간된 칼 바르트의 '개신교신학 입문'(복있는 사람)의 번역자이기도 하다.

신준호 박사는 먼저 "영혼, 영적인, 보이지 않는 세계의 중심은 '나사렛 예수의 인격'이다"며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에서 계속 되풀이되는 용어 중 하나가 '나사렛 예수의 인격 안에서 창조자 하나님이 등장하셨다'는 것이다. 예수의 이름을 부르면서 예수의 인격을 통해서 창조자 하나님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말 그대로 접촉점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놀람'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나사렛 예수 안에서 창조자 하나님이 등장하셨다 했을때 놀랐는가? 안놀랐는가? '이러저러하게 신학을 시작했는데 놀라지 않는 사람, 혹은 신학을 마쳤는데 더 이상 놀라지 않게 된 사람, 더 큰 놀라움 안으로 빠져들지 않는 사람은 일단...' 그런 사람은 신학을 관둬라는 뜻이다"며 "이 예수 사건 앞에서 놀랄 수 없는 사람은 계몽주의고 이성주의다. '놀람이 없다면 신학 작업 전체가 뿌리로부터 병들수 있다'"는 칼 바르트의 말을 인용했다.

이어 신 박사는 '당황'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중립적 관계란 없다'라는 바르트의 말을 인용하며 "말씀 앞에서 놀랐는데 가만히 보니까 거리를 두고 내가 주체가 돼서 말씀을 객체로 관찰할 수 있는 여유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말씀이 정말 말씀이고 예수의 인격 안에서 정말로 하나님이 등장하셨다면 나는 사로잡힌 자, 놀라움에 사로잡힌 자가 된다. '그 객체는 주체에게 최후 결정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지 않는다. 그것에 몰두된 사람은 놀라움에 사로잡힌 체포된 상태로 그 기적과 마주쳐 당황한 자가 된다'(83쪽)"고 말했다.

그는 "'체포'라는 단어도 많이 쓰인다"며 "딱 마주쳐 사로잡힌 것, 내가 말씀을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없다 라는 것이 신학적인 부르심이라고 할 수 있다. 신학을 시작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그것은 직업적인 신학만 가르키는 것이 아니고 어떤 형편로든지 앉아도 거기 계시고 서도 거기 계시고 빠져나갈 길이 없다라는 뜻이 '당황'이다"고 말했다.

신준호 박사는 대상과 관찰자 사이에 중립적 관계가 있을 수 없다는 실험인 양자물리학 이중슬릿 실험을 소개하며 "실험 대상에 검출기를 갖다 대면 입자는 알갱이가 돼서 나타나고 검출기를 떼면 파동으로 나타난다. 대상이 이미 관찰하는 나를 알고 있고 관찰자의 관찰 작용이 대상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누가 내 사진을 찍는다고 하면 그대로 있을 수 없게 된다. 특히 비디오를 찍게 되면 떨리는 것처럼 관찰자가 관찰 대상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상호 객관적인 중립 관계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며 "그래서 여기에서는 '당황'보다 더 좋은 단어를 찾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신학의 대상은 자신과 관계를 맺는 사람에게 그 대상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고립되는 자아의 고수를 허용하지 않는다'(84쪽) 그래야 하나님이다. 이 점에서 다시 한번 종교다원주의와 종교철학적인 관점은 신학과 구분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신 박사는 "여러군데 나타나는 계시, 여러군데 나타나는 신적인 것은 나를 사로잡을 수 없다. 한군데 나를 사로잡아오는 그것이 하나님이고 그것이 신적인 것이다. 중립적인 관계가 있을 수 없다라는 것이 신학의 주장이다. 이 신학의 주장은 양자물리학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계몽주의 이성은 아직 양자론에 도달하지 못한 이전시대 학문이고 우리나라 대학도 계몽주의 이성을 바탕으로 하다 여기까지 왔다"며 "유일회적으로 내 삶에 한 순간이 되고 이후에 미래 전부를 그 중심에 의해서 조금씩 바꿔나갈 수 있어야 그래야 진리를 들은 것이다"고 했다.

이어 "신학적 실존은 자신의 개인적 실존이다. 그는 세상 안에, 공동체 안에, 자기 자신 곁에 있다"며 "바르트는 먼저 세상과 공동체 그 다음에 나라고 한다. 이게 계몽주의적 고립된 실존, 현대적 자아를 넘어서려는 노력이다. 특히 성령론에서 그렇다. 순복음교회 성도는 개인적으로 '내가 방언을 받는다', '내가 은사를 받았다'라고 한다. 그런데 바르트 신학은 세상과 공동체에게 먼저 관여되지 않는다면 그건 성령이 아니다. 착각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세상이 먼저 심판 아래 있고 세상이 먼저 구원의 희망 아래 있고 그걸 먼저 깨달은 자들이 교회 공동체 안에 있는 이들이고 교회 공동체다. 공동체 안에서 내가 말씀을 배우고 듣고 아는 것이다. 내가 받은 성령은 세상에 먼저 적중이 돼야되고 그 다음 공동체에게 직접적으로 적중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그는 "바르트가 놀랐다고 하는 것은 신약, 구약의 역사에서 뽑아온 것이고 당황이라는 것도 성서를 배경으로 해야한다. 그 성서적 놀람, 당황을 거쳤던 사람들이 '최초의 증인들'이다. 최초로 예수의 인격에서 놀랐다. 그 사람들은 신약의 사도들이었다. 그들은 예수와 마주쳤고 그 다음에 놀랐고 벗어날 길이 없었다"고 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현대기독연구원 #칼바르트 #개신교신학입문 #신준호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