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갑부 평균나이가 '40'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끈다.
1억위안(175억원) 이상의 재산을 가진 중국 억만장자의 평균연령이 40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0만위안(17억5,000만원) 이상을 보유한 천만장자는 평균 38세다.
지난 11일 중국 부호 명단 발표로 유명한 월간지 '후룬 리포트'의 발행인 후룬(胡潤ㆍ본명 루퍼트 후게베르프)이 중국 광저우(廣州)에서 열린 '국제 재부(財富) 경제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후룬의 발언을 보도한 광저우 지역신문 양성만보(洋城晩報)에 따르면 올해 억만장자는 지난해보다 2% 늘어난 6만4,500명, 천만장자는 3% 늘어난 105만명으로, 중국 전체 인구(13억5,000만명)와 대비하면 각각 0.005%, 0.08% 수준이다.
억만장자는 평균 차량 4대와 시계 5개를 갖고 있고 1년에 3.4회 외국을 방문했다. 천만장자는 차량 3대, 시계 4개 보유에 연간 해외방문 횟수는 2.8회다.
천만장자의 80%는 자녀를 해외에 유학 보냈고, 유학지 대다수는 미국(43%)과 영국(34%)이었다. 억만장자의 90%, 천만장자의 70%는 남자. 중국 부자들이 여행지로 가장 선호하는 국가는 프랑스, 그 다음은 미국이었다.
후룬 회장은 이날 포럼에서 "억만장자의 평균 연령이 나와 비슷하다는 점에 통계를 보면서 적잖이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너스레를 떨어 청중석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후룬은 앞서 지난달 올해 42세인 중국 인터넷기업 텅쉰(騰訊)의 마화텅(馬化騰) 회장을 유력한 차기 중국 최고 부호로 꼽았다.
후룬리포트가 선정한 중국 부호 투자가 1위는 중국 최초 민영은행인 민셩은행을 창립한 류융하오 회장과 일가(200억위안ㆍ3조5000억원 보유)가 뽑혔다. 2위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CCTV 등을 만드는 업체 하이캉웨이스에 초기 투자해 수익을 거둔 궁훙자ㆍ천춘메이 부부(180억위안)가 선정됐다.
이들은 화중이공대 82학번 동창생으로 엔지니어 출신의 유명 엔젤투자자다. 3위는 '자본 사냥꾼'으로 불리는 판하이 그룹 루즈창 회장(165억위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