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일보 박성민 기자] 사단법인 고당조만식선생기념사업회(이사장 방우영) 주관으로 '고당(古堂) 조만식(曺晩植) 선생 순국 64주기 추모식'이 17일 오후 서울 YWCA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추모식에는 안중현 서울지방보훈청장과 김유길 광복회 부회장을 비롯해 광복회원, 평남도민 회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회사와 추모사, 오현정 시인의 시 낭송,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의 추모 강연, 숭실대 OB합창단의 합창 순으로 진행됐다.

방우영 기념사업회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고당의 순국일을 맞이하면서 다함께 북한 땅에서 뿌린 동포에 대한 사랑·봉사·희생의 씨앗이 헛되지 않고 자유·평화·통일을 진실로 맺는 날이 꼭 올 것을 다함께 다짐하는 이날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관선 산정현교회 목사는 "예수님을 가슴 속에 새기고 신앙을 머릿 속에만 갖고 있지 않고 삶의 현장에 적용하고 이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순국한 조만식 선생님을 위해 추모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며 "이 땅과 민족을 위해 온 몸을 바친 수많은 사람이 있어 우리가 살고 있는데 아름다운 가치관이 희미해지고 있어 안타깝다"라고 기도했다.

김 목사는 "고당의 삶을 현장에 구체화 할수있는 용기가 있게 하고, 불편한 길을 기꺼이 가는 그 정신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계속해 많아짐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사는 세상이 건강하게 하시고 북녁 땅에 고통받는 우리 형제들을 건져내며 남·북 갈등이 해결되게 해달라"며 "다음 세대에게도 이런 건강한 가치관을 물려주게 해, 남을 섬기며 국가·사회를 위해 기꺼이 희생하는 건강한 가치관이 확산되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안중현 서울지방보훈청장이 추모사를 하고 있다.   ©박성민 기자

이어 안중현 서울지방보훈청장은 추모사에서 "고당 선생의 말씀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고귀한 가르침이다. 대한민국의 발전을 이룩하는데 도왔다"며 "국내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현실에서 고당의 못다한 뜻을 이루겠다는 다짐을 해보게 된다"라고 전했다.

▲오현정 시인이 시낭송을 하고 있다.   ©박성민 기자

다음으로 국제PEN클럽이사 오현정 시인은 '제이·엠·에스(조만식의 영문 약자)', '세상을 앓던 사람'을 낭송하는 시간을 갖었다.

추모강연에서는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우리에게도 희망은 있는가?(고당에게 묻고 싶다)'라는 제목으로 강연했다.

김 교수는 교육자로서의 조만식 선생을 언급하며 "좋은 인재를 키워 대한민국의 장래를 위해 책임감을 느끼며 교육에 임했던 사람이 저를 비롯해 얼마나 있었을까 생각했을 때, 나와 우리를 위해 살아왔다"라고 반성했다.

이어 종교계의 문제를 언급한 김형석 교수는 "고당이 교회를 사랑하시고 기독교 정신으로 사신 것을 잘안다"며 "아직도 우리나라가 신부·목사님이 교회주의에 빠져서 큰 교회에 만족하지 말고 하늘나라 건설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해줬다면 이렇게 되지는 않았을 것"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예수님의 뜻을 너무 멀리 살았다. 예수님은 세상에서 단 한번도 '큰 교회가 부럽다', '교회를 위해 많이 노력해라' 이런 말 안하셨다. 어떻게하면 하늘나라 건설하는데 책임을 다할까 교훈을 남겨주셨다"며 "그러나 많은 신부님과 목사님이 이것을 외면하고 우리 교회만 커지면 된다고 하는 너무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살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우리 사회에 대한 질타로 화제를 이어가면서 "경제가 어느정도 성장했다는 것은 즐겁게, 감사하게 생각해도 좋다. 그러나 이 이상 성장하는 것은 문제"라며 "경제관이 바뀌지 않으면 경제가 성장하지도 못하고. 성장한다고 해서 행복이 오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러나 이기심에 갖혀있는 사람이 지도자로 나오면 희망이 없다"며 "지도자가 된다는 것은 이름없는 국민들보다 나라를 위해 걱정하고 고당처럼 헌신할 수 있는 사람이 지도자가 될 때 희망을 가질 수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고당이 우리에게 약속한 희망은 '윤리 사회가 되어라', '사람의 인격을 존중히 여길 줄 알아라'라는 것이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미국 교육은 거짓말을 용납하지 않는다. 또 남을 욕 못하게 한다. 박수칠 줄은 알지만 욕하지 않는다. 이것이 윤리 교육"이라며 "그러나 우리는 아직도 반윤리적인, 도덕적 가치를 가볍게 여기는 지도자가 많다. 희망은 어디서 오는가. 윤리 사회를 건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정의'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미국에서의 정의는 모두가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이다. 학생들도, 지성인들도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선의의 경쟁에서 사회를 돕는 것이 정의라고 보고있다"고 설명했다. 기독교가 가지고 있는 정의에 대해서는 "인간에 대한 책임"이라며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정의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성경의 '달란트의 비유'를 들며 "정의라고 하는 것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 사랑을 베푸는 것이다. 지식을 가진 사람은 지식을, 정치하는 사람은 자유를. 기독교는 정의를 위해 투쟁하고 싸우지만 정의를 위에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 고당이 우리에게 하고싶은 말이 이것일 것"이라고 전했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추모강연을 하고 있다.   ©박성민 기자

마지막으로 그는 "고당이 이렇게 살았다. 사랑을 위한 고생은 우리 모두가 선택해야 할 길이다. 고당이 남긴 게 그것이다. 민족과 국가를 정말 사랑해보라. 그 짐을 진 사람이 행복과 영광, 우리 사회·역사를 희망으로 이끌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고 했다.

김 교수는 "고당은 너무 무거운 짐을 졌다. 우리는 그렇게는 못하더라도 사랑을 위한 고생을 사양하지 말고 담당하는 마음을 가질 때 새로운 희망을 약속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고당이 우리에게 조용히 일깨워주고 싶은 게 이것이 아닐까한다"라며 강연을 마쳤다.

이어지는 시간으로 숭실OB합창단의 특송('조국찬가', '평화의 기도'), 그리고 김관선 목사의 축도를 끝으로 이날 추모식을 마쳤다.

한편 평남 강서에서 출생한 고당 조만식은 1922년, 민족경제의 자립과 발전을 위해 조선물산장려운동을 전개하여 전국적으로 확산시켰다.

1945년 11월 조선민주당을 창당하고 반공노선에 입각한 신탁통치반대를 전개하다가 소련군에 의해 평양 고려호텔에 연금된 뒤 6·25전쟁 중 북한 공산당에 의해 순국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70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조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