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간(2009~2014년 7월 16일) 국내에서 발생한 헬기 사고 유형을 분석해 보니 대부분이 민간이 소유한 헬기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헬기 사고 현황' 자료 분석 결과, 이 기간 동안 회전익항공기(헬기) 사고는 총 15건으로 이 중 10건(66.6%)이 민간 소속 헬기였다.

사고 항공기 소속별로 산림청·소방방재청 등 국가기관 5건, 민간(항공기사용사업자 9건, 개인 1건) 소유는 10건으로 집계됐다.

국토부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군(軍)과 경찰 보유헬기를 제외한 국내 등록 헬기는 모두 183대다. 국가기관인 산림청·소방방재청 헬기가 74대, 나머지(109대)는 민간 헬기로 집계됐다.

등록 헬기 대수는 2008년 156대에서 5년 만에 17.3%가 증가했다. 민간 보유 헬기는 2004년 68대에서 9년만에 109대로 60.3% 늘었다. 민간 보유 헬기는 농약살포용 등 사업용과 기업체·병원·언론사 등의 비사업용으로 구분된다.

최근 5년간 국적 항공기 사고는 총 23건이 발생했는 데, 헬기 사고가 전체 항공사고의 70%(16건)를 차지했다.

현재 대형항공기 426대, 헬기·소형기 183대가 각각 운영(군·경찰 보유헬기 제외)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헬기사고가 잦은 편이다.

한편, 항공철도사고조사위는 최근 광주 도심에서 발생한 소방헬기 추락 사고를 포함 ▲지난 해 5월 안동 산불진화 복귀 중 추락(산림청 소속·2명 사망) ▲11월 강남 삼성동 A아파트 충돌(LG전자 소유·2명 사망) 등 ▲12월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착륙 사고(창운항공·2명 부상) 등 총 4건에 대해 헬기사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항공철도사고조사위가 광주 헬기 추락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블랙박스를 수거했지만 훼손이 심해 판독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블랙박스는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30분 이상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지만, 헬기가 추락하면서 충격과 화염을 견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조사위는 블랙박스를 헬리콥터 제작사(프랑스)로 보내 복원을 시도하기로 했다. 하지만 100% 복원은 불투명한 상태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헬기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