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주간

고난주간은 루터교회, 가톨릭교회, 성공회에선 ‘성주간’(聖週間)이라 부릅니다. 고난주간을 일주일 동안 지내는 관습은 5, 6C 경 예루살렘에서 시작됐다고 합니다. 교회력의 정점을 이루는 고난주간의 예전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 마지막에 일어난 사건을 기억하고 묵상하는 가운데 주님의 부활을 맞이하도록 해 줍니다(갈 6;14). 신자들은 이 기간을 통하여 그리스도 생애의 마지막에 일어난 사건을 되새기며, 그 안에서 예수님이 세상을 성부와 화해시킨 부활의 신비를 경축하고 재현합니다.

고난주간은 종려주일부터 성 토요일 부활주일 전야(前夜) 전까지 사순절의 마지막 주간입니다. 이 주간의 모든 요일은 성 월요일, 성 화요일... 이렇게 요일 앞에 성(聖)자를 붙여 부릅니다. 한 해의 교회력 가운데 가장 중대하고 중요한 기간입니다. 예수님 전 생애의 요약이며, 인간에게 부활의 삶이 보장된 신자 생활의 축소판입니다.

성 월요일; 나사로의 누이 마리아가 예수님의 발에 값진 향유를 부은 내용의 복음서를 봉독합니다(요 12;1-11). 이때 예수께서는 마리아가 당신 장례의 날을 준비하였다고 말씀하시며, 죽음을 예고하신 날입니다.

성 화요일; 예수님께서 배반당하실 것과 베드로가 주님을 부인할 것이라고 예언하신 제자들 배반의 날입니다(요 13;21-33. 36-38).

성 수요일; 성서 일과는 예수께서 유월절을 지키신 내용입니다(마 26;14-25). 유다 배반의 날입니다.

세족목요일

성 목요일 혹은 세족목요일(洗足木曜日, Maundy Thursday)은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마지막 만찬을 하시며 성만찬을 세우신 것을 기념하며, 열두 제자의 발을 씻기신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요 13;1-11, 출 30;19-20). 예수님은 이날 만찬을 마치신 후 감람산에서 피땀 흘리며 기도하시고, 마침내 가롯 유다의 배반으로 잡혀가셨습니다.

교회에서는 성만찬 예식과 세족식을 거행합니다. 발 씻는 예식은 성 어거스틴 시대인 4C에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성목요일, 성금요일, 성토요일의 3일간을 ‘성삼일’(聖三日, Triduum)로, 고난주간 가운데서도 가장 엄숙하고 경건한 날로 여깁니다.

성금요일

성금요일(Good Friday)은 예수님의 처형과 죽음을 기념하는 애통과 비탄의 날입니다. 성금요일이란 명칭은 영어에서 기원한 것으로, ‘하나님의 금요일’(God’s Friday)이란 말에서 연유했을 것으로 봅니다. 고난예식은 주님의 고난에 관련되는 말씀과 복음을 듣고 묵상하며, 성만찬 예식을 거행합니다.

이날은 신자들이 금육과 금식으로 주님의 죽으심과 그 신비 속에 더욱 깊이 참여하며 동참합니다. 루터교는 성금요일에 성만찬을 하지 않는 것이 전통입니다. 이날의 초점은 십자가이기 때문입니다.

고난시간; 고난시간(Passion Hours)은 성금요일 정오부터 오후 3시까지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려있던 3시간입니다. 교회는 이 시간에 십자가상의 일곱 말씀을 중심으로 십자가에 운명하신 것을 묵상합니다.

성토요일

성 토요일은 주님이 무덤에 묻히신 것을 생각하며 주님의 부활을 기다리는 날입니다. 대안식일(Sabbato Sancto)이라고도 합니다. 성 토요일 저녁은 부활절 전야(Easter Even)가 되므로 사순절은 이날 오후로 끝이 납니다.

테네브레

테네브레(Tenebrae)는 라틴어로 ‘어둠’ 혹은 ‘그늘’이라는 뜻입니다. 전통적으로 교회는 이 이름을 딴 촛불 예배를 성3일로 일컫는 고난주간 마지막 3일 동안에 드렸습니다.
성단에 7개나 12개의 촛불을 정해진 구약이나 신약의 말씀(주로 수난 설화)을 봉독하며 하나하나 차례로 끄며 드리는 예배입니다. 크리스마스이브에 드리는 촛불 예배는 빛으로 오신 아기 예수님을 맞이하며 촛불을 켜는 의식이고, 테네브레는 불을 끄는 의식입니다. 성목요일 밤 이후에 점점 더 어둠의 세계로 들어감을 상징합니다. 예배의 마지막에는 축도가 없으며, 회중들은 어두운 가운데서 침묵 가운데 돌아갑니다.

색깔

사순절의 색깔은 회개와 근신, 청결과 기다림을 상징하는 보라색입니다. 성회수요일부터 종려주일 전까지 사용합니다.

고난주간은 빨간색이며, 성목요일부터는 매일 색깔이 다릅니다. 세족목요일은 흰색, 성금요일은 죽음을 뜻하는 검은 색, 성토요일은 무색입니다.

흰색의 반대인 검은색은 색과 빛의 부재를 의미합니다. 검은색은 태초의 어둠이 지녔던 색(창 1;2)으로, 초상(初喪)을 나타냅니다.

사순절 막(幕)

9C부터 달력이 없는 일반 교인들에게 사순절 기간임을 알리기 위해 교회 본당과 성가대석 중간에 사순절 막을 내려뜨리는 풍습이 있습니다. 지금도 성회 수요일부터 성금요일까지 사순절 내내 드리웁니다.

예전엔 사순절 내내 금식 기간이었기 때문에 이 베일을 ‘굶주림의 막(hunger veil)’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이 베일을 성단 한 편에만 걸어놓는 날이 있습니다. 사순절 중 금식을 하지 않아도 되는 주일입니다. 예수님께서 안식일 후 첫날 부활하셨기 때문에 매 주일이 부활일이고 보니 주일만은 금식하지 않았습니다.

루터교회와 성공회, 가톨릭교회는 성목요일부터 성토요일까지 성단 십자가에 보를 씌웁니다.

꽃꽂이

제비꽃; 소박하고 보잘것없는 꽃으로 순종을 의미합니다. 제비꽃의 보라색은 초상의 색으로 수난을 겪을 당시 주님이 보여준 순명을 연상시킵니다.
종려나무; 의와 아름다움, 승리 등을 상징합니다. 군인들이 승전하고 돌아올 때, 운동경기가 끝나고 승리자들에게 종려 잎을 건넸습니다. 교회의 전승은 종려나무를 죽음에 대한 승리, 부활과 불멸성의 상징으로 보았습니다.

시계꽃; 전설과 함께 예수님 고난의 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0개의 꽃잎은 배반하지 않은 열 제자, 꽃잎 안쪽에 바늘처럼 생긴 것은 가시관, 3개의 암술은 십자가에 박은 못, 잎사귀는 옆구리를 찌른 창, 넝쿨은 주님을 묶은 끈처럼 생겼습니다.

가시나무; 피를 흘리게 하는 가시는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정신적 고통을 의미합니다. 땋아서 만든 가시관은 힘없는 왕관을 조롱하는 뜻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사순절 기간엔 화려하고 기쁨의 상징인 꽃은 생략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금요일에는 일체 제단에 꽃을 두지 않습니다.

수난곡

수난극(受難劇)은 중세 종교극 중 하나입니다. 중세 가톨릭교회에서 수난의 스토리를 극으로 만들었습니다. 예부터 내려오는 관습에 따르면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의 이야기가 담긴 마태복음 26, 27장은 종려주일에, 마가복음 14, 15장은 성 화요일에, 누가복음 22, 23장은 성 수요일에, 요한복음 18, 19장은 성금요일에 읽었다고 합니다. 중세로부터 시작된 이 의식은 처음엔 음악이 반주 되고 성직자들의 행렬이 있었으나 근대에 와서는 형식이 교회에서 독립하여 연극적 부분은 수난극으로, 음악은 오라토리오와 칸타타, 수난곡이 되었습니다.

수난곡은 대부분 성금요일 낮의 고난시간이나 저녁 시간에 연주하며, 테네브레와 더불어 연주되기도 합니다.

김명엽
연세대 교수, 추계예대 교수, 국립합창단 예술감독, 서울시합창단 단장을 역임했던 김명엽 교수

수난곡의 명곡으로는 예컨대, J.S.바흐의 ‘마태수난곡’(Matthäus-Passion)과 ‘요한수난곡’(Johannes-Passion), 하이든의 ‘십자가상의 칠언’(Die Sieben letzten Worte unseres Erlosers), 드보아‘(T.Dubois)의 십자가상의 칠언’(Les sept paroles du Christ), 스테이너(J.Stainer)의 ‘십자가상의 죽음’(The Crucifixion), 마운더(J.H.Maunder)의 ‘감람산에서 갈보리로’(Olivet to Calvary), 프랑크(C.Franck)의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Die Sieben Worte Jesu am Kreuz) 등이 있습니다.

김명엽 (교회음악아카데미 원장)

 *** 이 글은 필자가 진행하는 유튜브 ‘김명엽의 찬송교실’ 동영상으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난주간 #테네브레 #김명엽 #교회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