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여야의원들이 1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AI 아마겟돈, 대한민국 생존의 열쇠를 찾아라'를 주제로 토론회를 공동개최했다. ⓒ뉴시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여야의원들이 1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AI 아마겟돈, 대한민국 생존의 열쇠를 찾아라'를 주제로 토론회를 공동개최했다. ⓒ뉴시스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세계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인프라 투자와 함께 규제 완화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경쟁력 있는 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인재와 자본을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이사는 12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여야 의원들이 공동 주최한 'AI 아마겟돈, 대한민국 생존의 열쇠를 찾아라' 토론회에서 "중국은 목표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지만, 한국은 투자가 분산되는 경향이 있다"며 "검증된 선도 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AI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과감한 규제 완화와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요하다"며 "혁신을 저해하는 제한을 과감히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상균 전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은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자본과 인재가 핵심 요소"라며 "정부가 모든 자금 흐름을 직접 통제하기보다는, 감사원 감사를 받지 않는 자금이 혁신 산업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세제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금 감면을 통해 글로벌 자본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한국인 인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미국에 있는 중국인 등 글로벌 인재를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이 AI 제조 허브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특히 헬스케어, 농업,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AI 활용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로 평가됐다.

손재권 더 밀크 대표는 "오픈AI의 샘 올트먼이 방한했을 때, 한국의 의료 데이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며 "그러나 강한 규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국민연금 등 강력한 데이터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기 위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들도 AI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동남아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송승호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 SPA본부장은 "MS 협력 모델을 활용해 한국어에 특화된 AI 학습을 진행하고 있으며, 발전형 한국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KT는 AI 모델 '믿음'을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구현해 한국의 제조업 특성에 맞춘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KT향 모델로 발전시켜 글로벌 수출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분야에서 G3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국가 차원의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가진 강점을 살려 규제를 완화하고, 글로벌 자본 및 인재를 적극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인공지능 #기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