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교학술원(원장 김영한, Dr.phil. Dr.theol. Heidelberg)이 지난 4일 서울 횃불회관 믿음홀에서 2025학년도 2학기 개강식을 열었다고 최근 밝혔다. 이날 행사는 오성종 교무부장의 인도로 진행됐으며, ‘영생 얻는 믿음’이라는 주제로 설교가 이뤄졌다. 설교에서 오 교무부장은 요한복음 6장 54~57절을 본문으로 삼아 예수 그리스도가 성육신하신 하나님이자 하늘에서 내려온 .. WEA는 어떤 단체이며 신학은 무엇인가(2)
세계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학교들이 WEA를 ‘정통, 보수, 복음을 지향하는 세계적인 복음주의 단체’로 간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교회의 지극히 일부 단체가 WEA를 ‘신복음주의자들의 단체’로 몰아부침은 옳지 않으며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WEA는 어떤 단체이며 신학은 무엇인가(1)
올해 2025년 10월 27일부터 31일까지 사랑의교회( 담임 오정현 목사)와 여의도순복음교회(담임 이영훈 목사)에서 WEA(세계복음주의연맹) 서울총회가 개최된다. 이번 WEA총회 개최는 선교 14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가 성공적으로 자전,자립,자치하고 사회적으로 주도 종교로서 안착했는데 이를 감사하는 마음에서 세계 복음주의 지도자들과 신자들을 초청하여 21세기 선교의 비전과 방식을 함께 .. 부활하신 예수: 죽음의 권세를 깨뜨리심(4)
그래서 복음서 저자들은 예수의 빈무덤에 관하여 한결같이 증언하고 있다. 무덤이 비어 있었다는 사실에 대한 증인은 제자들이 아닌 여인들이었다. 여인들에겐 증인의 자격을 부여하지 않았던 가부장 문화권에서 증인의 자격이 없던 여인들이 부활 증인으로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여인들이 빈무덤 사건의 증인으로 등장하는 것은 이것이 제자들이 꾸며낸 시나리오가 아니라 사실적으로 여인들이 부활사건에 대한 증인.. 부활하신 예수: 죽음의 권세를 깨뜨리심(3)
마가는 안식일 후 첫 날 일찍이 예수의 무덤에 갔던 여성 제자들, 막달라 마리아,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와 또 살로메가 “누가 우리를 위하여 무덤에서 돌을 굴러 주리요”(막 16:3) 라고 서로 말했다. 그런데 이들이 눈을 들어본즉 무덤문에서 이미 큰 돌이 굴려져 있는 현장을 다음같이 기록하고 있다: “벌써 돌이 굴려져 있는데 그 돌이 심히 크더라. 무덤에 들어가서 흰 옷을 입은 한 청년이 .. 부활하신 예수: 죽음의 권세를 깨뜨리심(2)
여인들은 예수 부활의 첫 목격자가 된다. 마태는 다음 같이 부활 사건을 전해주고 있다: 안식일이 다 지나고 안식 후 첫날이 되려는 새벽에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마리아가 무덤을 보려고 갔다(마 28:1). 큰 지진이 나며 형상이 번개 같고 눈 같은 흰 옷을 입은 주의 천사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돌을 굴려 내고 그 위에 앉았다: “큰 지진이 나며 주의 천사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돌을 굴려 내고 그 .. 부활하신 예수: 죽음의 권세를 깨뜨리심(1)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는 장사된지 삼일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나셨다. 그는 하나님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죽음이 그를 묶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나사렛 예수의 독특성은 그의 대속의 죽으심에만 있지 않고 그의 다시 살아나심에 있다. 그가 다시 살지 못하셨더라면 그의 죽음은 우리에게 대속(代贖)의 구원을 가져다 주지 못했을 것이다... 예수 죽음의 의미-대속(代贖)의 죽음(7)
현대신학자들은 예수의 대속 죽음에 대하여 애매모호한 이해를 표명하고 있다. 바르트, 몰트만, 틸리히의 대속 죽음 개념도 객관적 대리 행위를 말하나 그것이 구체적으로 개인적인 신자 하나 하나의 죄의 속죄에 대하여 표명하는 것인지 애매하다. 복음주의자 라이트의 대속 개념도 마찬가지로 애매모호하다... 예수 죽음의 의미-대속(代贖)의 죽음(6)
예수의 죽음은 “악법도 법이다”라고 체제에 순응하면서 독배를 마시고 조용히 죽은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같지 아니했다. 예수는 구약성경의 족장들(아브라함, 이삭과 야곱 등)처럼 천수(天壽)를 다하고 평온히 죽지 아니하였고, 하나의 노예 내지 흉악범 같이 십자가 위에서 수치스러운 죽음을 당하였다... 예수 죽음의 의미-대속(代贖)의 죽음(5)
미국의 사회철학자 존 하워드 요더(John Howard Yoder)는 예수의 정치적 권력을 “포기로서의 권력”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요더의 입장은 벤야민의 자기 비움으로서의 신적 권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는 주저 ‘예수의 정치학’(The Politics of Jesus)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살았던 삶을 따르자고 역설한다... 예수 죽음의 의미-대속(代贖)의 죽음(4)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은 유대계 독일인으로 마르크스주의자이자 문학평론가이며 철학자이다. 그의 사상은 게르숌 숄렘의 유대교 신비주의와 베르톨트 브레히트로부터 마르크시즘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또한 비판이론의 프랑크푸르트 학파와도 관련이 있다... 예수 죽음의 의미-대속(代贖)의 죽음(3)
예수는 자신의 신성과 성령이 주시는 겸허 능력으로써 죄인의 모양으로 자기를 낮추어 우리의 대속을 위하여 십자가에 죽으셨다: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사 십자가에 죽으심이라”(빌 2:8). 예수의 겸허는 그의 신적 본성의 겸허에서 나온다. 인간은 교만하여 자기를 하나님과 동일시하려다 하나님의 금지명령을 불순종하였다. 이에 반해 성자의 겸손은 자신을 성부와 동일시하지 않고 스스로 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