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윤리연구소 목회자 이중직
목회윤리연구소가 14일 낮 "목회자 이중직"을 주제로 제8회 포럼을 개최한 가운데, 김승호 교수와 정재영 교수가 발제하고 있다. ©목회윤리연구소 제공

"전통적으로 목회자는 오로지 목회에만 전념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각 교단의 목회자 이중직 허용 여부와 무관하게, 많은 목회자들이 자의든 타의든 목회직과 동시에 세속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제 목회자 이중직 문제는 더 이상 목회자 개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교회 전체가 관심을 가져야 할 중요한 문제가 되었습니다."(목회윤리연구소 이사장 조석원 목사)

[기독일보 이수민 기자] 한국교회 80%는 미자립교회. 현실적인 문제로 고민하는 개척교회 어려운 목회자들에게 하늘만 바라보고 살기를 강요한다면, 그것만큼 어려운 고문도 없을지 모른다. 목회윤리연구소(이하 연구소)가 14일 낮 한국기독교회관에서 "목회자의 이중직, 미래목회의 한 유형"이란 주제로 '목회자의 이중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제8회 목회윤리연구소 포럼'을 개최해 관심을 모았다.

목회윤리연구소 소장 김승호 목사
영남신대 김승호 박사 ©기독일보DB

첫 발제자로 나선 김승호 박사(영남신대 기독교윤리학)는 "목회자 이중직에 관한 성서적 신학적 고찰"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교회성장시대' 에는 목회자 이중직 이슈가 대두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1990년대 중후반 이후의 '교회정체시대' 를 기점으로 이중직을 수행하는 목회자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고, 최근 들어 목회자 이중직은 한국교회의 핫이슈로 떠오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박사는 "현재 침례교단의 전면적 허용을 제외하고 국내 대부분의 개신교 교단들이 대체로 이중직을 금지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중직 목회자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근본적으로 목회자 수급 불균형 때문"이라며 "특별한 경제적 지원이 없는 한 대부분의 개척교회들은 교회의 사례비만으로 목회자 가정의 생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므로 목회직과 함께 세속직을 겸할 수밖에 없다"고 이야기 했다.

김 박사는 "전통적으로 한국교회는 목회활동에만 전념하는 전임제 목회를 일반적인 목회 유형으로 이해해 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성서적 신학적 입장에서는 목회자가 어떤 상황 하에서도 이중직을 수행할 수 없다는 전면적 거부를 함축하고 있지는 않다"고 설명하고, "오히려, 루터가 행한 것처럼, 목회자가 가족의 생계 문제 해결을 위해 목회직과 세속직을 동시에 수행하는 모습 자체가 책임윤리적 차원에서 긍정적 행동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김 박사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에 의하면 목회자를 포함하여 모든 성도는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도록 부름 받은 존재들"이라 말하고, "그렇다면, 개인이 이중소명을 받은 경우 목회직과 세속직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면서 "해외선교 현장에서 비즈니스 선교 개념이 현대 선교의 한 유형으로 인정되고 있듯이, 목회 현장에서도 이중직 목회 개념이 다양한 목회의 한 유형으로 인정될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박사는 "한국교회의 전통과 역사를 고려할 때, 목회자 이중직은 전임제 목회의 대안으로서가 아니라 전임제 목회를 보충하는 하나의 목회 유형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직업윤리 및 목회윤리 차원에서, 이중직 목회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제한점들을 극복하는 방안 역시 마련될 필요가 있다"면서 "현 단계에서 목회자 이중직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인가는 이 이슈에 대한 더 다양한 논의를 구체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한 하나의 불씨가 될 것"이라 했다.

실천신대 종교사회학 정재영 교수
실천신대 종교사회학 정재영 교수 ©기독일보DB

한편 김 박사에 이어 "목회자 이중직의 현실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정재영 교수(실천신대 종교사회학)는 "설문조사에 따르면 목회이외에 다른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목회자는 38%에 달했고, 목회자의 74%가 이중직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왔다"면서 여론 역시 목회자 이중직을 찬성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감리교를 비롯해 여러 교단들이 이중직을 허용하도록 법 제도를 변경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정재영 교수는 이러한 현실 가운데 "교회가 변해가는 사회와 사회구성원들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하고, "교회가 그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사회의 변화에 민감하고 시대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면서 한국사회 활발한 관심과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공동체 자본주의 운동'의 교회 및 목회자 참여를 독려했다.

그는 "사회적 기업이나 마을 기업 등에서 실제 일을 담당해야 할 주민들의 역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많은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라 지적하고, "이런 일에 목회자와 교회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며 중심을 잡아줄 수 있다면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러한 다양한 대안 경제 운동을 통해 현재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와 위기를 극복하고 선한 사마리아인의 마음으로 참여하며 지역사회를 활성화하고 공동체화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목회의 지평도 더욱 의미 있게 넓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전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회윤리연구소 #이중직 #목회자이중직 #김승호 #정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