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년대에 성혁명은 프리섹스를 정당화하였다. 게이인권운동은 1973년 미국정신의학회가 동성애의 정상화를 결정하도록 만들었고, 2003년 소도미법(항문성교를 금하는 법)을 무효화시켰다. 그래서 서구에서는 동성간 성행위도 프리해졌다. 프리섹스는 결혼과 가족, 정조 등과는 반대이다. 그러나 동성애자들은 굳이 결혼하게 해달라고 또한 자녀를 키우게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는 모순처럼 보인다. 그런..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97)] 프로포폴, 펜타닐, 그리고…
지금 우리나라에서 유명 배우가 프로포폴을 사용하였다 하여 화제가 되고 있다. 펜타닐은 지금 미국에서 새삼 문제시되고 있는데, 그 때문에 길거리에 쓰러져 죽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신문에도 가끔 등장하는 소위 “물뽕”이라는 물질이 있는데, 이는 여성을 정신을 몽롱하게 만들어 성폭행하기 위한 소위 데이트 강간 약물(date rape drug)이다. 이들이 소위 “약물”이다...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96)] 주디스 버틀러
20세기 성혁명은 급진 페미니즘과 더불어 진행되었다. 페미니즘에 대한 저명한 학자들이 많지만, 지면상 대표적인 주디스 버틀러만을 소개하고자 한다.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 1956-)는 동구 유태인 가정 출신으로, 미국 철학자이자 페미니스트로서 젠더 및 퀴어이론가이며, 그 자신이 동성애자(레스비언)이다. 버틀러의 이론은 전통적 기독교적 성 규범을 해체하려는 대담한 시도로서, 세..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95)] 미셀 푸코(3)
정신의학, 특히 정신분석은 정신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환자의 과거력을 조사하여, 현재의 정신상태와의 관련성을 연구한다. 이는 바로 푸코의 지식의 계보학적 연구 내지 지식의 고고학적 연구와 비슷한 방법이다. 이제 그의 실제 삶의 역사를 살펴보고, 그의 사상과의 연관성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94)] 미셀 푸코(2)
푸코의 주장에 대해 당연히 반론과 비판도 많다. 이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푸코의 ”계보학적“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이 있다. 즉 그가 연구에 인용한 역사적 사료가 선택적이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푸코는 감옥과 정신병원을 주로 연구하였고, 다른 형태의 조직(예를 들어 공장)은 무시하였다. 푸코의 계보학적 “지식의 고고학”은 과거를 유려하게 재기술해주고, 또한 그의 방대한 자료와 .. [크리스천이 보는 성혁명사(93)] 미셀 푸코(1)
미셀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는 프랑스의 유명한 좌파 철학자이자 또한 유명한 동성애자이다. (푸코의 이론이 중요하기 때문에 3회에 걸쳐 푸코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그는 평생, 방대한 자료를 발굴하여, 역사적으로 진리(truth)는 사회구성적으로(socially constructed) 또는 말하기(statement)로 형성된다고 주장하며, 시대에 따라 그렇게 형..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92)] 일상에서의 성혁명(2)
섹스의 정신적 차원이 인간으로 하여금 동물과 구별되게 해준다. 그러나 인간도 육체를 가진 이상, 인격과 감정은 근본적으로 섹스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통제되지 않은 성혁명적 프리섹스는 성병과 임신과 낙태 같은 문제로 육체뿐 아니라 마음에도 심각한 상처(트라우마)를 준다. 그런데 왜 우리는 그런 경고를 듣기 힘든가? 그것은 섹스로 인한 마음의 상처를 숨기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미디어나 TV..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91)] 일상에서의 성혁명(1)
1960년대 당시 세계적 석학들이 프로이트 막시즘, 비판이론, 싸이키델리즘, 해방이데올로기, 사회구성주의 철학 등등 어려운 말들을 하고 있을 때, 서구 사회의 대중문화는 재빠르게 프리섹스 사상을 상업적으로 전파하기 시작하였다. 헐리우드 영화, TV 드라마, 인터넷, 유튜브 등등이 성적 이미지와 성적 언어들 등 성문화를 파급시키기 시작하였다. 모두들 앞장서서 (아무래도 돈 때문에) 각종 에로틱..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90)] 크리스천 페미니즘, 가능한가?
역사적으로 초기 기독교에서 성모마리아를 기렸던 운동은 일종 여성운동이었다. 크리스천 여성들은 동정녀 마리아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였던 그 품성을 본받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 품성은 1531년 멕시코 과달루페에서 발현한 성모마라아의 품성을 본받자는 마리아니스모(Marianismo) 현상에서 보는 바와 비슷하다. 그 여성적 덕성은 대인관계에서의 하모니, 내적 힘, 자기희생, 가족에의 헌신, ..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9)] 급진 페미니즘의 분화
제2파 페미니즘 시기 동안 여러 종류의 급진 페미니즘들이 등장하였다. 막스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억압은 사유재산 제도가 도입되면서 등장한 계급사회 때문에 생겨났다고 본다. 남성들이 생산 수단을 사적으로 소유하게 되면서 자본주의나 제국주의가 생겨났고 그 결과 여성억압도 생겨났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들이 해방되고자 한다면 자본주의 체제가 공산주의 체제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8)] 문제는 급진 페미니즘이다
60년대를 지나면서 페미니스트들 사이에 점차 이데올로기에서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즉 급진 페미니즘(radical feminism), 막시스트 페미니즘(marxist feminism), 사회주의 페미니즘(socialistic feminism) 등이 등장하였다. 이 기간에 주류인 제1파 페미니즘(first wave feminism) 또는 자유주의 페미니즘(liberal feminism)..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7)] 성혁명과 제2파 페미니즘
페미니즘(여성주의)이란 남성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여성의 인권을 증진하려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개인적 차원의 운동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페미니스트들은 사회가 남성의 관점을 우선시하고 있고, 여성들을 부당하게 대하고 있다고 보고, 이런 문화를 바꾸려고 노력하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