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년대 서구사회의 성혁명과 프리섹스 풍조는 성병의 폭발적 증가를 가져왔다. 그런 성병들 중 가장 큰 타격을 준 성병은 1981년 최초로 발견된 에이즈이다. 처음 미국에서 다섯명의 원인불명의 폐렴 환자들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게이들이었다. (이는 이후 동성애 차별의 한 구실이 되었다.) 80년대 후반에 그 원인 균이 HIV인 것이 확인되었다. HIV는 중앙아프리카의 원숭이에 있던 S..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5)] 게이 아젠다
"게이 아젠다“(Gay agenda, 또는 homosexual agenda)는 동성애자들이 국가나 사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의도 내지 계획을 의미한다. 즉 정부나 사회 나아가 NGO들과 개인들을 설득하여, 동성애는 물론 동성혼과 civil union을 인정하도록, LGBT 커플이 양자를 양육할 수 있도록, LGBT사람들이 군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 LGBT를 옹호하는 교육을 하도록, ..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4)] 알파세대를 위한 기도
2023년의 새해를 맞이하면서, 우리가 성혁명의 역사를 알아보고자 하는 이유를 새삼 생각해 본다. 왜 역사를 공부하는가, 그것은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미래를 위해서이다. 미래의 무엇을 위한 것인가? 그것은 우리의 다음 세대이다. 지금 자라고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함이다. 그들을 우리는 알파세대라 부른다...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3)] 동성애가 DSM에서 삭제된 경위
1960년대 인권운동, 히피운동, 68학생운동, 여성운동, 동성애 운동, 반정신의학 운동 등등, 반문화운동이 한창이던 어느 날(1969년 6월 28일), 뉴욕 그리니치 지역의 한 게이바(Stonewall Inn)에 경찰이 불심검문하여 동성애자를 체포하려 하였다. (당시 동성애는 법적으로 체포할 범죄로 규정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폭력사태가 벌어졌다. 격분한 동성애자들은 다음날 대규모로 모여..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2)] 성혁명과 동성애 운동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전통 종교적 교훈이 관습과 윤리와 법의 기본을 이룬다. 서구에서 동성애에 대한 전통적 교훈은 기독교에 기원한다. 서구에서 동성애를 법적으로 (사형에 처할 만큼) 범죄시 한 것은 1530년대 영국의 헨리 8세가 Buggery Act를 만들었을 때부터였다. (당시 buggery는 남자들의 동성애, 항문성교. 수간 등을 의미했다. 당시 레스비언이라는 개념은 없었다) 19세기 ..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1)] 헤르만 헤세의 경우
필자는 오랫동안 헤르만 헤세에 관심을 가지고 자료를 모은바 있다. 처음에는 그의 문학에 대한 매력과 그가 경건주의 목사 아들이라는 사실 때문이었는데, 연구하는 도중에 헤세가 우울증을 앓았고 융 정신분석치료를 받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그의 문학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필자의 연구 결과는 논문으로 그리고 2019년 ⌜헤르만 헤세의 진실. 우울증, 경건주의, 그리고 정신분석⌟(인간사..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80)] 성혁명과 싸이키델리즘
60년대 성혁명은 히피운동과 마약사용과 싸이키델리즘(psychedelism 굳이 번역하면 “환각제 문화”라 할 수 있다)에 의해 조장되었다. 여기서 환각제(hallucinogen)란 LSD, 메스칼린(peyote라는 선인장의 한 성분), 환각작용 “버섯”(실로사이빈), 등등이다. 이들을 복용하면 눈앞에서 밝은 색깔들의 움직이는 왜곡된 초현실적 시각적 경험, 즉 “psychedelic”한 경험..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79)] 히피 문화의 결말
히피운동의 결말이 어떠하였는지는 우리에게 중요하다. 그것은 성혁명이 어떤 식으로 막아질 수 있는지에 대해 통찰을 주기 때문이다. 1960년대 기승을 부리던 히피운동은 1970년 이후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히피의 수도로 간주되던 산프란시스코 하이트-애슈버리지역은 1967년 말 이미 신음소리를 내고 있었다. “평화와 자유 그리고 프리섹스”이라는 선전에 이끌려 수 많은 젊은이들이 모여들었지만, “..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78)] 히피운동과 성혁명
히피운동(hippie movement)이란 1960년대 미국의 젊은이들이 주류 미국 문화를 거부한 대표적인 반문화운동(counter-culture movement)이다. 히피라는 말의 어원은 1950년대 비트세대 작가들이 사용했던 hip(멋지다라는 의미)이라 한다. 히피 운동의 주역은 백인 중산층 청소년과 청년(15-25세)들로서, 즉 베이비붐 세대이며, 성혁명 세대와 일치한다. 히피운동은 ..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77)] 2차 성혁명의 전개
2차 성혁명은 서구에서 1960년대 전통적인 일부일처제적 결혼 밖에서의 섹스를 용인하는 문화로 변화한 것이다. 그 이전부터 서서히 성해방의 조짐을 보이다가, 1950년대의 소위 비트세대(beat generation)의 문화, 헨리 밀러나 노먼 메일러 등 유명 작가들의 성해방을 구가하는 소설들, 플레이보이지 같은 잡지 등을 통해, 프리섹스가 마치 멋지고 영웅적인 것으로 포장되기 시작하였다. 거..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76)] 성혁명의 주역-베이비붐 세대
베이비붐 세대는 이차대전 후 전쟁에서 돌아온 남자들과 후방 공장에서 일하던 여자들이 만나 결혼하여 낳은 아이들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부모들은 이전의 경제공황과 세계대전 동안 인생은 힘들다고 배워 학교 졸업하면 곧바로 돈을 벌어야 한다고 믿었던 세대였다. 그들은 전쟁에 휘말렸고, 결핍의 시대를 견딘 후, 결혼하게 되면서 열심히 일하면서 두터운 중산층을 이루었다. 그들은 안락한 생활을 하면서 많.. [크리스천이 본 성혁명사(75)] 2차 성혁명의 전개
2차 성혁명은 1960년대 서구에서 시작된 “프리섹스”를 향한 혁명적 성문화의 변화 현상이다. 좁은 의미의 2차 성혁명은 미국에서 1960년대 젊은이들에 의해 샌프란시스코로부터 퍼지기 시작하여 갑자기 가속화된 성에 대한 허용적 자유주의적 태도의 확산을 말한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