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 국회는 22일 미국의 핵시설을 공습한데 대응해 세계 석유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는 결의안을 가결했다. 이란 정부는 "이번 결의안 가결이 즉각적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 조치를 뜻하지는 않으며 방어적 차원에서 옵션을 승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시스
    호르무즈 해협 봉쇄 위기, 한국 경제 직격탄 우려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에 대한 보복으로 이란이 전략적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예고하면서 한국 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 글로벌 원유 수송의 20% 이상이 이 해협을 통과하는 만큼, 실제 봉쇄가 현실화될 경우 국제유가는 물론 한국의 에너지 수급과 수출입 물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호르무즈 해협을 항해 중인 한국 선박에서 18일 촬영한 이란의 미사일 발사 모습.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
    호르무즈 해협 긴장 고조… 이란 봉쇄 위협에 미국 "자살 행위" 경고
    미국이 이란의 핵시설을 공습한 이후 중동 정세가 일촉즉발의 위기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이란은 주요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 가능성을 시사하며 강경한 태세로 맞섰고, 이에 미국은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내놓으면서도 외교적 해결의 여지를 남겨 두었다. 이란 국영 프레스TV는 22일(현지시간), 이란 의회인 마즐리스가 긴급 총회를 열고 호르무즈..
  • 벙커버스터 GBU-57로 말미암아 폭발이 일어난 현장의 모습.
    미국, 이란 핵 시설 3곳 정밀 타격
    미국이 현지 시각 6월 21일 이란의 주요 핵 시설 3곳에 대한 군사 공격을 감행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공격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전격 이뤄졌으며, 지하 깊숙이 위치한 우라늄 농축 시설을 정밀 타격해 실질적인 파괴를 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7시 50분,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란의 포르도,..
  • 브래드 랜더 뉴욕시 감사관이 ICE에 체포되던 모습이 영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현지 영상 캡처
    뉴욕시장 후보 브래드 랜더, ICE 단속에 항의하다 체포돼
    AP통신과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랜더 후보는 법원 심리를 마치고 나온 한 이민자와 팔짱을 낀 채로 ICE 요원에게 영장을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요원들은 이 이민자를 체포하려 했고, 랜더 후보는 이 과정에 개입해 실랑이를 벌이다 결국 체포됐다. 연방 요원들은 이민자와 랜더 후보를 분리한 뒤, 랜더에게 수갑을 채워 연행했다...
  • 아야톨라 할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 지도자
    하메네이 "전투 시작됐다" 선언... 이란, 이스라엘과 타협 없다
    이란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이스라엘과의 전면 대결을 예고하며 타협 불가 입장을 강하게 천명했다. 하메네이는 18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X)에 올린 게시물을 통해 "우리는 시오니스트들에게 자비를 베풀지 않을 것이며, 절대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며 전투가 시작됐음을 선언했다...
  •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미국, 중국 유학생 비자 취소 본격화
    미국 정부가 중국 출신 유학생에 대한 비자 취소 절차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는 중국 공산당과 연관된 인물과 민감한 분야의 연구에 종사하는 유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삼아 비자 심사를 대폭 강화하고, 향후 발급 절차 또한 엄격히 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시진핑과 주말 통화 가능성… 중국, 시장 개방 약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간 무역 협상과 관련해 “아마도 이번 주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스위스에서 진행된 양국 간 협상에서 양측이 일부 관세 인하에 합의한 직후 나온 발언으로, 향후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낸 것이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미·중, 보복 관세 90일 유예 합의…무역 갈등 완화 국면 진입
    미국과 중국이 상호 부과한 보복성 고율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하면서, 장기간 이어져 온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완화 국면에 들어섰다. 백악관은 12일(현지시간) 발표한 공식 성명을 통해 이번 조치가 지난 10일부터 11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된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의 결과임을 밝혔다...
  • 스콧 베센트 미국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미중 첫 무역 협상, “상당한 진전”… 합의 내용 12일 공동 발표
    미국과 중국이 11일(현지시간) 양국 간 무역 협상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공식 무역 협상으로, 12일에는 구체적인 합의 내용을 담은 공동 성명이 발표될 예정이다...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러시아, 미국과 협상서 우크라이나 점령지 전면 통제권 요구
    모스크바타임스는 24일(현지시간), 크렘린 전략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미국 측과의 협상에서 루한스크, 도네츠크, 자포리자, 헤르손 등 4개 지역에 대한 전면적 지배권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