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경기 호황에도 불구하고 철강과 석유화학 업종의 회복이 지연되면서 3분기 제조업 체감경기가 하향 조정됐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2238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3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직전분기(99)대비 10포인트(p) 하락한 89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포인트 하락했다... 정부, 17조원 규모 반도체 금융 지원 프로그램 개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대출 신청 여부 주목
27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경제관계장관 회의에서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다음 달부터 산업은행을 통해 17조원 규모의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대기업에 0.8~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적용한다... 한남대, 반도체 인력 양성 위한 ‘D-HNU 인재 커넥트 프로젝트’ 성료
한남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4월부터 5월까지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해 'D-HNU 인재 커넥트 프로젝트, 반도체 공정 입문 과정'을 운영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재학생과 졸업생, 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나노종합기술원과 협력해 진행되었으며, 이론 강의, 반도체 공정 실습, 면접 코칭 등 총 42시간의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교육과정에는 참가자들이 반도체 산업과 공정에 대한 기.. “반도체 국가총력전”... 윤, 26조 종합지원 프로그램 발표
윤 대통령은 이날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 모두발언에서 "반도체는 국가총력전이 전개되는 분야로, 경쟁국에 뒤지지 않는 반도체 지원을 펼쳐 국가가 확실히 뒷받침해야 한다"며 이 같은 지원책을 소개했다... 반도체 ‘왕좌’ 다툼 치열… 삼성전자 추격전 가속화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업황이 반등하면서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왕좌' 다툼이 치열해지고 있다. 대만 TSMC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삼성전자의 추격전도 가열되고 있어 주목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지난해 693억.. 3월 경상수지 69억달러 흑자
우리나라의 3월 경상수지가 69억 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11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반도체 등 주력 수출품목의 호조세가 이어지면서 상품수지도 30개월 만에 최대 흑자폭을 보였다... 최태원 "반도체 업황 상승세 오래가지 않을 것"
7일 업계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은 지난 2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연임 기자간담회에서 "작년 너무 나빴기 때문에 올해 상대적으로 좋아지는 현상일 뿐"이라며 "올해 좋아진 현상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4월 수출 13.8% 증가… 반도체·車 ‘쾌조’
지난 4월 수출이 13.8% 증가하며 7개월 연속 플러스 궤도를 이어갔다. 반도체와 자동차가 견인차 역할을 했으며, 무역수지도 11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등 수출 호조세가 지속됐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4월 수출액은 562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삼성전자, 고부가 ‘HBM’ 공격 투자... 판매량 3배 이상 늘린다
올해 1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한 삼성전자가 고부가가치 메모리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공급을 빠르게 확대하며 수익성 개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3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올해 HBM 출하량을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릴 계획이며, 이미 고객사와 물량 공급을 합의한 상태다. 내년에는 최소 2배 이상 더 확대할 예정이다... 잇단 대만 지진에 글로벌 반도체 ‘휘청’… 메모리 가격 상승 불가피
세계 주요 반도체 생산기지인 대만에서 연이어 강진이 발생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수급 차질과 가격 상승 파장이 예상된다. 메모리 반도체가 주력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의 반사이익이 점쳐지는 가운데, 대만 의존도 높은 반도체 공급망 재편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반도체 수출, 21개월 만에 회복세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이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회복세를 이어가며 21개월 만에 호황기 수준을 회복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슈퍼 사이클'까지 예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 조선업 ‘1분기 세계 1위’ 탈환... 수출 호조 견인
지난 1분기 국내 조선업이 세계 1위 자리를 9개 분기 만에 되찾으며 수출 호조를 이끌었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의 선박 수주액은 136억 달러(약 18조 3,436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연간 수주액 299억 달러의 절반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