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전 군 사이버사령부의 인원이 2배로 확충됐고 요원들에게 작전폰까지 지급됐다는 의혹이 20일 제기됐다.

국군사이버사령부가 이날 민주당 진성준 의원에게 제출한 '530단 사이버 업무지원 통신료 지급 내역'에 따르면 사이버사령부는 2011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매달 61대 몫 휴대전화 통신료를 지급했지만 같은해 10월부터 132대 몫의 통신료를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이버사령부 산하 사이버심리전단 인원도 지난해 9월 61명에서 같은해 10월 132명으로 늘었다.

진 의원이 공개한 작전폰 지급 기준·현황에 따르면 사이버사령관은 심리전단 전원에게 컴퓨터 외에 작전폰(스마트폰)을 1대씩 지급했다.

작전폰 지급 기준도 사령관, 530단장 등 530단 부대원들로 전해졌다. 사령관과 심리전단 요원에게 지급된 작전폰은 한 통신사의 군 할당 국번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이버사령관이 국방부 장관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지침과는 다른 별도의 작전폰 운용 지침을 전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진 의원은 "대선 직전 사이버심리전단이 2배 이상 대폭 확대된 것은 대선에 개입하기 위한 것이라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국방부를 겨냥, "대선을 앞두고 충원된 71명 요원 중 신규 채용 군무원 47명 외에 24명을 충원한 이유를 설명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사이버심리전단 인원 확대는 3급 군무원인 심리전단장의 소관이 아닌 김관진 국방부 장관의 승인과 당시 사이버사령관이었던 연제욱 청와대 국방비서관의 집행이 필요한 일"이라며 "이는 연제욱 청와대 국방비서관이 불법적인 대선개입을 지휘했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말했다.

진 의원은 전날 발표된 국방부 조사본부의 중간수사결과에 관해선 "연제욱 비서관이 쓰던 작전폰을 수사하지 않은 수사는 거짓 수사"라고 혹평하며 "즉각적인 특별검사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후 진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별도 기자회견을 열어 "국정원 심리전단요원들이 카페 등을 돌아다니면서 추적을 따돌리는 등 원시적인 방법을 썼다면 국군 사이버사령부 심리전단요원들은 스마트폰 테더링 등 기술적인 방법으로 추적을 따돌리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사이버사령부는 요원들에게 스마트폰을 지급해 24시간 대응 체제를 갖췄다. 온종일이 업무시간이었다"고 강조했다.

진 의원은 또 "작전폰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을 통해 자료를 복원해 수사하면 사이버사령관과 심리전단장간 연락체계와 활동방식 등을 밝혀낼 수 있는데도 이번 국방부 조사본부는 이를 누락했다"고 비판하며 "국방부 조사본부의 수사는 더이상 믿을 수 없다. 군 검찰에 송치해도 보나마나 뻔하다. 독립적인 특검을 도입해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낙종 국방부 조사본부장이 19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사이버사령부의 인터넷 여론조작 의혹 사건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13.12.19.   ©뉴시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진성준 #사이버사령부 #작전폰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