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채 총장
서병채 총장
고생도 일부러 할 필요는 없듯이 실수도 일부러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실수 안 하는 사람이 세상에 어디 있겠는가! 그러니 실수라는 말이 생겨나지 않았을까. 알고 실수하기도 하고 또 모르고 실수하기도 한다. 그 당시에는 모르지만 나중에 생각해보니 실수였다고 알게 되기도 한다. 말의 실수, 인간관계에서 실수, 가르침에서의 실수, 태도에서의 실수, 친척간에 실수, 가족 내에서 실수, 자녀에게 실수, 부모에게 실수. 지금 생각해보니 나 역시 부모님께 잘못한 것이 있다. 그 당시에는 말의 실수였는데 되돌아보니 잘못했다. 또한 실수는 어릴 때하기도 하고, 또 중년이 되어서, 심지어는 나이가 든 노인이 되어서도 실수하기도 한다.

어릴 때 실수는 우리의 현재 삶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그것을 인정하고 대가를 치른다는 게 부담과 위험요소가 된다. 실수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우리로 하여금 더 현명해지고,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게 해주고, 우리 삶의 모든 측면에 유익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실수를 인정하는 것이 최우선인 듯 싶다. 그것이 인정 안되면 다음 단계가 진행이 안되니까 실수를 인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인정을 못하면, 즉 실수를 인정하지 않으면 그 자체가 또 다른 실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왜 실수에 대한 인정을 하지 못할까. 그것은 아마도 인정한 후에 거기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염려, 두려움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즉 실수를 했으면 그만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사회적인 인식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니 실수를 하면 두 가지가 현실적으로 우리에 다가온다는 얘기다. 하나는 우리가 실수를 인정하는 것과 그것으로 뭔가 배운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실수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 두 가지 사이의 긴장관계, 이것이 두려울 수도 있겠다.

더구나 타 문화속에 있다가 보면 실수할 경우가 많다고 본다. 나 같은 경우는 케냐에 처음 와서는 실수도 많이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당시는 당연한 것이고 내 말이나 행동이 분명히 정당하다고 생각했기에 그랬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실수들이라고 여겨진다. 학교 직원들에게 소리 지른 것, 학교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 또 동네 주민들에게 못되게 군 것 등등 많은 실수들이 있었는데, 처음이라 문화에 내가 적응 못한 탓이기도 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cdaily.co.kr

- Copyright ⓒ기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병채